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SCT검사
- mmpi
- cbt
- 이마고
- 이야기치료
- 이마고부부치료
- 가족상담
- 사회학습이론
- satir
- 보웬
- mmpi-2
- 미누친
- 경험적가족치료
- Bowen
- 자아존중감
- 가족규칙
- 크롬볼츠
- 자아분화
- 가족치료
- 집단상담
- imago
- krumboltz
- 심리검사
- 해결중심
- 사티어
- 구조주의가족치료
- 진로이론
- 집단
- 진로발달이론
- 생애역할
- Today
- Total
목록전체 글 (100)
마음반창고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ksHKp/btqJKvp9AB7/TTmrF7Yu1TMtlDYEpX1Shk/img.jpg)
3. 내담자를 “알고 싶어하는” 자세 ("Not-knowing" Posture) 상담자로서, 내담자가 자기 삶의 전문가로 서길 원한다면 가능한 자기 준거 틀을 내려놓고, 내담자 준거 틀을 알아보는 방법을 알아야 한다. 다시 말하자면, 알고 싶어하는 자세(not knowing posture)를 취하는 방법을 배워야 한다. 이러한 태도를 유지하는 방법을 배우려면 결단과 연습이 필요하며, 이는 평생 이어가는 과정이다. 이 용어는 Anderson & Goolishian (1992)이 처음 사용한 것으로 상담자는 절대 (전문가 준거 틀로) 내담자의 경험과 행동이 나타내는 의미를 미리 알 수 없다는 것이다. 상담자는 내담자의 인식과 설명에 의지해야 하는데, 그렇게 하는 가장 좋은 방법은 ‘알고 싶어하는 자세’를 취..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k6QUM/btqJQIn27hE/gkj5nwHrHKqqKPAKLSyw40/img.jpg)
“해결중심단기가족치료”는 20세기말 가족치료의 새로운 동향으로 단기적이며, 강점을 활용하고, 효과성에 관심을 두는 가족치료의 주요개념과 접근법을 사용하는 것이다. 대부분의 전통적인 상담·치료는 문제와 원인을 분석하고 해석하는 문제-중심적 접근법을 사용하여 문제의 근원을 파악하는데 많은 시간과 정력을 쏟아야 했다. 이러한 시도는 문제를 해결하는데 도움이 되기보다는 문제를 더 발견하게 되고, 문제에 더 집착하는 현상을 보였으며, 결과적으로 상담에 대한 효율성에 회의를 갖게 되었다. 20세기말 가족치료 학자들과 실무자들은 사람들에게 문제-중심적인 사고에서 벗어나 해결-중심적인 사고를 하도록 돕고, 개인과 가족의 강점과 장점을 발견하여 문제해결을 하도록 돕는 것에 관심을 두기 시작했다. 효과적인 개입으로 시간이..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bynat/btqJQIVR7qt/F2BEeOdhkMjICTU0xncAzk/img.jpg)
II. 가족 사정(family assessment)/가족 평가 1. 가족평가의 정의 ① 가족을 사정하고 진단하며 측정하는 일련의 행위: 가족을 하나의 ‘단위’로 보고 가족 내부 및 외부체계, 그리고 이들 간 상호작용을 파악하기 위해 자료를 수집, 분석, 종합하여 가족에 대한 개입을 계획하는 일련의 과정 ② 가족치료의 전 과정을 통해 이루어지는 작업, 각 단계에서 치료목표에 맞추어서 평가가 이루어진다. ③ 가족문제, 가족구조와 관계유형, 가족체계와 외부체계의 상호작용, 문제해결을 위한 가족원의 자원, 문제해결에 대한 가족의 동기 등을 평가 2. 가족평가의 목적 ① 가족문제의 특성을 명료화 ② 가족원들이 그들 문제를 어떻게 지각하는지 이해 ③ 가족역동의 구조, 기능성, 영향을 정확히 파악 3. 가족평가 내용..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Hk1MI/btqJKwh5oq2/PhB75aA30ctcpU7DoSf0E1/img.jpg)
I. 가족치료의 기본개념 1. 가족치료의 특징 치료에 참여하는 사람의 숫자가 아니라 인간행동은 근본적으로 상호작용의 맥락에 의해 조직된다는 보는 사고방식에 있다. 개인적인 것과 성격에 초점을 맞추는 대신 문제가 그들을 둘러싸고 있는 관계에서 발생할 수 있음을 생각하고 서로 연관된 관계를 이해하는 것이 필요 가족역동성: 가족 구조내의 가족 구성원간에 발생하는 상호작용을 의미. 가족구조, 가족규칙, 권력구조, 역할구조, 가족관계 등이 가족 상호작용에 영향을 미친다. 2. 사이버네틱스(Cybernetics) 이론 가족치료의 배경이 되는 이론으로 자기조절체계에서 피드백기제에 대한 연구, 피드백으로서 수행한 것에 관한 정보를 사용함으로써 안정을 유지하려는 경향이 있다 1940년대 Bateson이 사이버네틱스의 원..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Etl5n/btqJbx81cit/I1DdK2ADMhHm7Lv8MpoYh1/img.jpg)
*집단상담 활동 가. 개관 몇 개 옵션으로 주어지는 활동 중에 한가지를 골라서 과제로 해야 한다. 한 회기가 마치고 나서 다음 회기 동안에 주어지는 과제로서 자신이 두려워하거나 하기 힘든 활동에 대해 도전해보는 것으로 집단 내에서 배운 전략을 생활에 적용해 보는 것이다. 나. 준비사항 ·집단운영: 소집단, 중집단 ·소요시간: 60분 ·장소: 실내 ·준비물: 활동지, 필기구 다. 진행 ·자신이 힘들어 하는 한가지를 선택한다. *다음 주에 내가 해야 할 일 선택 선택사항 - 즐거운 일 찾아 하기 : 매일 즐거운 것을 하는 데 시간을 할애하기 - 합리적 정서적 심상 : 어려운 사건을 생생하게 상상해 보고 그것에 대해 합리적으로 생각하는 연습을 하기 -부끄러운 행동에 도전해 보기 : 부끄..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9zV46/btqJltYyXft/iNUf7eYwkG4lk6le3pr8V1/img.jpg)
5. 학교 집단상담에 대한 인지행동 접근의 적용 현재중심적이며, 단기적이고, 행동에 초점을 둔 재교육적인 인지행동 접근은 초등학교에서 고등학교 수준의 학생들과 함께 작업하는데 적합하다. Vernon은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CBT의 효율성에 대한 몇가지 근거를 다음과 같이 제안했다. -CBT 원리는 이해하기 쉽고, 대부분의 연령대와 다양한 문화에 속한 아이들에게 적용할 수 있다. -CBT 집단은 시간이 제한된 학교 환경에 맞는 단기개입을 사용한다. -CBT 개념을 배우는 것은 학생들이 삶의 기술을 체득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아동과 청소년은 자신의 사고, 감정, 행동 간의 관계를 이해함으로써 정서와 행동면에서 자기조절을 배울 수 있다. -CBT 집단은 구성원들이 변화할 수 있는 것에는 대처하도록 하..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cVhALs/btqJby1cgpk/yE3KbNbF2EB1HPUPwFUUtK/img.jpg)
3. CBT집단의 단계 CBT집단의 목표는 단순히 집단 환경에서 나타난 변화를 보여주는 것을 넘어서 변화가 실생활에 이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초기단계 예비 구성원은 CBT 프로그램에 대해 일반적으로 잘 모르기 때문에 집단에 참여하기 전에 모든 관련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중요하다. Ledley와 동료들은 집단의 사전동의 과정의 네가지 주요 요소를 구체화하였다. ⓵ 개인이 집단에 가져온 문제를 다룰 때 치료자와 구성원들이 협력하는 ‘협력적 경험주의’의 의미를 알아야 한다. ⓶ 구성원은 CBT가 시간제한적이라는 것을 알아야 한다. ⓷ 일반적으로 목표가 빨리 달성될 수 있다는 점을 구성원들이 알도록 한다. ⓸ CBT전문가들은 그 효과가 입증된 기법만을 사용한다는 점을 알리고, 비밀보장의 의미와 집단에서의 비밀보..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1HAzn/btqI6Nkr6gI/s1H57hfV82VhflxKDGMPA0/img.jpg)
서론 다양한 내담자가 갖고 있는 여러 가지 문제를 다루는데 효과적인 인지 행동 집단 치료는 점점 많은 상담 집단으로부터 인기를 얻고 있다. 인지행동 지향적인 치료자는 단기적이고, 행동적이며, 직접적이고, 협력적이며, 현재중심적이고, 교훈적인 심리교육적 치료법을 사용한다. (Reinecke & Freeman, 2003). 인지적 요소들이 행동적 집단치료에 계속 통합되어 왔고, 행동치료자들은 인지 및 사회학습 이론의 용어로 기법들을 다시 정의하였다. 행동치료는 행동을 이해하는 수준에서 더 나아가 행동을 변화시키기 위한 실험적 접근을 근거로 하였고 1970년대 중반에 인지행동치료(cognitive behavior therapy: 이하 CBT)라고 바뀌었다. 오늘날 대부분은 CBT를 활용하고 있다. CBT는 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