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구조주의가족치료
- satir
- 진로발달이론
- 집단
- imago
- 이야기치료
- SCT검사
- 가족치료
- 심리검사
- Bowen
- 이마고
- 가족상담
- 자아분화
- 진로이론
- mmpi-2
- mmpi
- 사회학습이론
- 집단상담
- 생애역할
- 경험적가족치료
- 보웬
- 가족규칙
- 사티어
- krumboltz
- 이마고부부치료
- 해결중심
- 크롬볼츠
- 자아존중감
- 미누친
- cbt
- Today
- Total
목록이야기치료 (4)
마음반창고

VI. 치료기법과 절차 이야기치료의 효과는 기술보다 상담사의 태도나 관점에 더 의존한다. 이야기치료 실제에서는 상담사가 긍정적인 결과를 보장받기 위해 따를 수 있는 방법도 없고, 계획도 없고 공식도 없다(Drewery & Winslade, 1997). 외현화하는(외적 원인으로 돌리는) 질문이 주된 기술로 접근될 때, 개입은 얕아지고, 강요되고, 주목할 만한 치료적 효과를 내지 못하게 된다(Freedman & Combs, 1996; O'Hanlon, 1994). 공식적인 접근으로 상담을 하면 내담자는 단지 어떤 것이 그들에게 일어났을 뿐 자신은 대화에서 소외된 느낌을 받는다(Monk, 1997). 이야기치료는 기술의 적용 그 이상이다. 이는 내담자가 다른 관점으로 자신의 이야기를 볼 수 있도록 격려하는 분..

IV. 기본전제 1. 인간은 처음 시작부터 자신이 속한 문화와 사회의 이데올로기 속에서 어떠한 형태로든 영향을 받으며 자신에 대한 이해를 구축해 가는 존재이다. 개인의 정체성은 사회에 퍼져있는 담론의 영향을 받는다. 또한 의미를 만들거나 정체성을 만드는데 지식, 권력이 관련된다. 문화적 규범과 사회적 지위도 이에 영향을 미친다. 푸코(Foucault, 1980)에 따르면 권력에 따라 어떤 사회적 이야기는 좀 더 정당하다고 여겨지며, 이에 따라 사람들도 좀 더 또는 좀 덜 정당화된다. 2. 사람의 삶에 일어난 어떠한 사건이나 경험들은 이야기로 만들어져 그 안에서 서로 연결되어 그 사람의 삶을 형성한다. 이야기는 사람들의 과거, 현재, 미래의 사람에 대한 연출이며 삶을 인도하는 힘으로써, 이야기의 연결과 연..

II. 이야기치료 학자 1. Michael White 가족상담가인 White는 남오스트레일리아의 덜위치 센터의 소장으로 있다, 그는 기계제도가로 삶을 시작하였으나, 곧 자신은 기계보다 사람을 더 좋아함을 알게 되었다. 이러한 인식을 통해 그는 1967년 사회복지국의 사무원으로 사회사업과 인연을 맺게 되어 사회복지사가 되기 위한 훈련을 받았으며ㅡ 거기서 그는 가족상담에 관심을 갖게 되었다. 그는 1970년대에 정신병원에서 임상사회사업가로서 많은 집단 가족상담 경험을 쌓았다. 그 당시 그는 지역사회개발과 사회활동에 더 많은 관심을 갖게 되었고, 빈민층 환자들이 지역사회로 돌아가 그들의 권익을 위하여 모임을 조직하고 사회활동을 하는 데 많은 지지와 도움을 주었다. 초기에 그는 가족상담의 사이버네틱스 사고와 체..

이야기치료 이야기치료는 1980년대 중반 이후 Michael White와 David Epston에 의해 알려지기 시작하였으며, 그 후에 여러 사람들이 이야기치료 이론을 발전시켜왔다. 이야기치료는 1980년대 중반 이후 오스트레일리아와 뉴질랜드를 중심으로 시작하여 최근에는 북미의 가족상담에서도 성행하고 있다. White(1992)에 따르면 사람들은 해석적 이야기로 삶의 의미를 구성하고, 그것을 ‘진실’로 간주한다. 지배적 문화 이야기의 힘 때문에 사람들은 자기 삶의 기회와는 반대되는 지배적 담론의 교훈을 내면화하는 경향이 있다. 신과학주의, 이야기, 사회구성주의 관점의 채택은 권력, 지식, ‘진실’이 가족과 다른 사회 문화 배경에서 어떻게 타협되는지를 설명한다. 외적 문제의 압박과 큰 체계의 지배적 이야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