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mmpi
- 사회학습이론
- 경험적가족치료
- 자아분화
- SCT검사
- 가족치료
- 이마고부부치료
- cbt
- 이야기치료
- mmpi-2
- 진로발달이론
- 이마고
- 보웬
- 집단
- krumboltz
- 심리검사
- 구조주의가족치료
- satir
- 사티어
- 자아존중감
- 해결중심
- 생애역할
- 미누친
- Bowen
- imago
- 크롬볼츠
- 집단상담
- 진로이론
- 가족상담
- 가족규칙
- Today
- Total
목록전체 글 (100)
마음반창고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NvSDj/btqMBxqryXh/Mk6LR1zaxdcOue6AEKGdA1/img.jpg)
◈ 구조주의 가족치료 (Structural Family Therapy) 3. 인간관과 가족관 구조주의 가족치료는 개인을 그의 사회적 상황 내에서 접근하려는 이론과 기술이다. 이러한 점에 근거하여 가족의 조직을 변화시키는 방향으로 치료는 진행된다. 즉 가족집단의 구조가 변형되면 이에 따라 구성원의 위치가 바뀌어지며, 그 결과 각 개인의 경험도 변화한다는 것이 구조주의 가족치료의 핵심적인 내용이다. 그리고 이러한 내용은 사회적 존재로서의 인간이라는 인간관에 기초한다. 구조주의 가족치료이론에서 인간은 고립된 존재가 아니다. 인간은 사회적 집단 내에서 활동하고 반응하는 구성원이며 그가 실제로 경험하는 것은 내적 및 외적 요소에 따라 영향을 받게 된다. 다시 말해 인간의 경험은 자신과 환경과의 상호작용에 의해 결..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DGeec/btqMAQX3CYS/g1iKF3qZ660m0W41RAMO21/img.jpg)
◈ 구조주의 가족치료 (Structural Family Therapy) "사회는 가족을 형성하게 하고 가족은 개인을 형성한다." 1. 구조주의 가족치료란? 어떤 가족이나 상호교류에 질서와 의미를 부여하는 분명한 틀을 만드는데 일관성 있고 반복적이면서 예측할 수 있는 가족 내의 행동유형들이 가족 내의 기능적 측면의 구조를 만든다는 이론이다. 구조주의 가족치료 이론은 이런 가족 내의 경직된 상호작용에서 새로운 상호작용으로 묶어줌으로써 구조를 재구성하여 치료하는 기법이다. 구조주의 가족치료는 가족 내 복잡한 상호교류에 질서와 의미를 부여하는 분명한 틀을 제공해준다. 개인을 그가 속한 사회적 상황, 특히 가족이라는 밀접한 상황 내에서 접근하는 구조주의 가족치료는 일관성 있고 반복적으로 작용하는 기능적 측면의 형..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2HL4t/btqKxCozcbj/EQzBAJNJjsbw8zOkpOxHh1/img.jpg)
* 제석봉(1989)이 Bowen의 이론과 Kear(1979), Garfinkle(1980), Titlman(1983) 척도를 바탕으로 개발한 ‘자아분화척도’ * 제석봉(1989). 자아분화와 역기능적 행동과의 관계. 부산대학교 박사학위논문. 《자아분화척도》 1번에서 13번까지의 문항은 2년간의 전반적인 행동, 경험 및 의견을 묻는 문항입니다. (문항을 잘 읽으신 후 해당란에 O표를 하십시오) 1~5점 문항 내 용 전혀 그렇지 않다 거의 그렇지 않다 어쩌다 그런 편이다 자주 그런 편이다 거의 항상 그렇다 1 나는 중요한 결정을 내릴 때 마음 내키는 대로 결정하는 일이 많다. 2 나는 말부터 해 놓고 나중에 가서 그 말을 후회하는 일이 많다. 3 나는 비교적 내 감정을 잘 통제해 나가는 편이다. 4 나는 ..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e7wxj/btqKGlmhjrL/OHIb0qsoY2a912gQQMvHj1/img.jpg)
V. 치료과정 보웬의 치료과정은 가족구성원들이 정서적 융합에 의해 갖고 있는 불안감을 줄여주고 상호 간에 얽혀 있는 삼각관계의 탈피를 시도한다. 보웬의 가족치료에서 가장 많이 다루는 것은 불안과 긴장으로, 어떻게 하면 불안을 감소시키고 자아분화 수준을 높이느냐에 관심을 둔다. 보웬의 다세대 가족치료는 가족문제가 여러 세대에 걸쳐 전달되어 현재의 증상을 일으킨다고 가정한다. 따라서 치료적 개입에 앞서 문제를 일으키는 다세대 정서과정의 기본 유형을 찾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1. 평가면접 평가면접은 신체적 · 정서적 · 사회적 증상에 초점을 두어 제시된 문제력과 그 증상이 그 사람의 관계에 미치는 영향에서 시작된다. 초기 면접은 1회 이상의 회기를 통해 현재의 증상과 관련된 가족구성원의 역기능을 측정하며..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Jz6i0/btqKEyzhSR0/9LvkeNomkE7owW71uMcq6k/img.jpg)
II. 치료목표 1. 치료목표 ▶세대에 걸쳐 누적된 불안 감소, 자아분화 촉진, 탈삼각화, ▶자아분화는 치료목표인 동시에 성장목표이다. 분화되지 않은 가족자아집합체에서 자신을 분리, 독립시켜 정체감을 형성하고 자기충동적, 정서적 사고와 행동에서 자유를 획득해 나갈 수 있도록 돕는 것 ▶보웬 가족치료의 궁극적인 목표는 여러 세대를 통해 반복되고 있는 가족과정(불안에 대한 감정반사행동)과 구조(서로 맞물려 있는 삼각관계)를 파악하여 원가족에게서 자기분화를 높여 가족체계를 변화시키는 것이다. 치료자는 다세대 정서체계에 퍼져 있는 만성불안 유형에서 벗어나게 해줌으로써 가족구성원의 불안을 경감시키고 자기분화를 촉진하여 삼각관계에서 벗어나도록 하는 것이다. ▶모델의 이점: 가족구성원 한 사람도 개입이 가능하다는 것..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dGMmNY/btqKLFjWYqG/NOiMc7BPuQQ1lgGV2duY30/img.jpg)
IV. 치료기법 1. 과정질문(process question) ▶내담자의 감정을 가라앉히고 정서적 반응에 의해 나타난 불안을 낮추며 사고(이성)를 촉진하는 질문기법으로써, 다양한 과정을 질문하여 내담자가 인식하지 못한 측면을 생각하게 하는 기법 ▶이 질문은 환자의 감정이나 정서보다는 인지에 초점을 두며, 환자가 어떤 방식으로 관계 유형에 관여되어 있는지를 묻는다. 상담사는 내담자가 말하는 사건의 내용에 초점을 두는 것이 아니라 사건을 둘러싼 가족의 순환적 관계과정에 초점을 맞춘다 ▶과정질문의 기능 ① 잠재적인 정서과정을 치료자와 내담자 모두에게 분명하게 드러낸다. ② 질문들은 행동, 특히 증상적인 행동들을 대인관계 맥락에서 이해하게 한다 ③ 치료자가 내담자와 삼각관계에서 벗어나도록 하는 중요한 방법이다 ..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Gi98k/btqKC18XEjc/lenmAQlOBkpgvaKELfjpJK/img.jpg)
13. 형제순위체계(sibling position) ▶형제 순위에 따라, 출생 전후의 가족에게 발생한 사건이나 상황에 따라 제각기 다른 환경을 경험하게 된다. 형제 순위는 가족역동에 영향을 끼치는 중요 요소로서 가족 투사 과정이나 삼각관계 형성, 세대 간 전수과정 등에 영향을 미치고 다양한 가족역동을 만들어 낸다. ▶형제 순의는 개인의 기능에도 일부 영향을 준다, 맏자녀는 대체로 책임감과 주도적인 역할을 부여받고 자란다, 따라서 관계에서 의사가 존중되고 타인에 대한 책임감을 느끼며 주도적인 역할을 하려는 경향이 있어 지도자의 역할을 하는 것을 볼 수 있다. 반면 막내는 낙천적 성향을 갖거나 의사결정에 있어 주도적이 되기보다는 타인의 결정을 따르는 경향이 더 높다. 예) 막내인 남편과 맏딸인 아내의 만남은..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mHXKT/btqKL8zn6QR/bufzj3vzbKFk1UeDQnImuK/img.jpg)
10. 감정체계(emotional system) ▶감정에 의해서 만들어진 관계형태. 감정적으로 매여있거나 얽힌 상태. 일차 감정 ▶가족 내에서 ‘부모들의 정서기능이 어떻게 작용하는가’가 불안을 증가하는 데 주된 결정요소이다, 부모가 가족의 ‘머리’ ▶정서체계는 개별성(individuality)와 연합성(togetherness)의 상호작용에 의해 지배된다 ▶과대기능하는 사람은 전형적으로 다른 사람의 정서적 안녕감에 책임감을 지는 사람이고 자신들의 기능에서 지각되는 부족한 부분들을 보완하려는 사람이고 반대로 과소기능하는 사람은 과대기능하는 사람이 자신을 쓸모없거나 꺼려하는 것들에 의지하려고 한다 ▶과대기능하는 사람은 그에게 의지하는 사람들에게 힘과 자신감을 얻을 수 있다. 과소기능하는 사람은 자기몰두와 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