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SCT검사
- 가족치료
- 진로이론
- 자아존중감
- 미누친
- 집단
- 심리검사
- 이마고부부치료
- 가족규칙
- Bowen
- 생애역할
- mmpi
- 사티어
- 집단상담
- 자아분화
- 해결중심
- 이야기치료
- 이마고
- 경험적가족치료
- mmpi-2
- 크롬볼츠
- 진로발달이론
- imago
- 가족상담
- cbt
- krumboltz
- 구조주의가족치료
- 보웬
- satir
- 사회학습이론
- Today
- Total
목록전체 글 (100)
마음반창고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RQUmG/btqI9HdctWW/1OI1TjbSXKRgNTQmkI8e01/img.jpg)
심리검사 동의서 나는 다음 사항에 대해 아래 서명한 검사자에게 설명을 들었으며, 다음의 사항에 동의합니다. 1. 나는 이 검사를 받는 것을 스스로 선택하였습니다. 2. 나는 이 검사를 하는 것이 심리치료를 받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이해합니다. 3. 나는 나의 검사자가 심리검사 훈련 과정에 있으며, 그 일환으로 이 검사를 실시한다는 것을 이해합니다. 4. 나는 모든 심리 검사지에 나의 본명 대신 내 이름의 이니셜을 적거나 가명을 적어 나의 신분이 보호받는 것을 이해합니다. 5. 심리검사 중에 모여진 자료에 대해 더 잘 이해하기 위해, 익명성이 보장된 상태에서 수퍼바이저의 지도하에 상의가 된다는 것을 이해합니다. 그 과정 중에도 나의 필요와 권리를 존중하고 보호하기 위한 모든 노력이 있을 것을 이해합니다. ..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PpuLW/btqJgObxcpd/S1iRb5qO4OBLnmnG7ykDFK/img.jpg)
4)채점 채점 과정에서는 피검자의 반응을 기호화하게 된다.피검자의 반응들을 로르샤흐 검사에서 약속된 기호로 바꾸어 기록한 뒤,각 기호의 빈도,백분율,비율,특수 점수 등을 산출하여 이를 수치적으로 요약하는‘구조적 요약’과정을 거치게 된다. 여기서 나온 결과를 토대로 피검자의 성격 특성 및 병리 상태에 대한 해석이 이루어지게 된다.즉,피검자에 대한 해석은 이 채점 단계를 바탕으로 이루어지므로,채점이 정확해야만 해석의 타당성이 보장될 수 있다.따라서 정확한 채점 방법을 익히는 것이 중요하다. Exner종합체계에서의 채점은 기본적으로 다음과 같은 항목들로 이루어져 있다. • 반응의 위치(location) : 피검자가 반점의 어느 부분에 반응하였는가 • 반응 위치의 발달질(developmental quality)..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8fMrp/btqJh4SJ1Dt/0GKjRivOwoIjMyrHNkoh30/img.jpg)
1) 개관 로르샤흐(Rorschach) 검사는 현재 임상 실제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는 대표적 투사검사다. 특히 개인 성격의 여러 차원, 이를테면 인지, 정서, 자기상, 대인관계 등에 대한 종합적, 다각적인 정보를 제공한다는 강점을 지니고 있다. 이렇듯 다양하고 복잡한 정보를 주면서 그 중요도가 높게 평가되고 있는 만큼이나, 신뢰도나 타당도에 관한 많은 논의와 이의 또한 있는 검사다. 즉, 실시나 해석 과정에서 임상가의 주관이나 편향이 개입되어 결과가 달라지거나 오도될 가능성이 많으며 해석자 간 의사소통이나 의견일치가 되지 않을 수 있다는 문제점이 지적되어 왔다.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1921년 Hermann Rorschach에 의해 성격 분석의 도구로서 그 유용성이 인식되어 연구 발표된 이후,..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Wyktn/btqIAP4pudL/7Du1HsPAdeb3hGEtudebP0/img.jpg)
5. 게슈탈트 집단상담의 전개 양상 하르만은 피얼스의 개인심리 발달 5단계를 집단 작업의 전개양상에도 그대로 적용시킬 수 있으며, 다음과 같은 집단전개 양상을 제시했다. 1) 피상단계(chiche lever) : 집단 구성원 간에 접촉은 피상적이고 형식적인 관계로 깊은 내면을 노출시키지 않는 단계이다. 흔히 집단 초기 성원들의 행동은 예견 가능한 형태로, 점잔을 빼고 예의 바른 행동을 하는 등 상황에 맞는 학습된 행동을 할 뿐이다. 따라서 서로 간의 관계는 매끄럽지만 진정한 접촉은 없다. 2) 공포단계(phobic) 또는 연기단계(role playing level) : 이 단계에서 성원들은 역할연기를 하므로 자신의 모습은 없고, 그들이 연출하는 여러 가지 역할들만 눈에 띈다. 여기서 집단 구성원들은 진정..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eakSsg/btqIOmTrlFi/Z0dFGoCQaihgssgyKBdA81/img.jpg)
3. 게슈탈트 집단상담의 참여방식 집단은 매우 안전하고 신뢰로우며, 보호받을 수 있는 장이 되어야 한다. 즉, 집단원 서로 간 아무런 가치판단과 부당한 집단 압력이 있어서는 안 된다. 또한 집단원간의 관계에서 각자의 욕구와 가치관에 따라 자유롭게 자신의 존재를 있는 그대로 드러내고, 표현하며, 반응할 수 있어야 한다. 그래야 참여자들이 안심하고 자신의 내면세계를 탐색하고, 나아가서 타인과의 새로운 관계를 실험해 나갈 수 있기 때문이다. 집단 첫 시간에 집단원들에게 다음의 두 가지 참여규칙을 알려줄 필요가 있다. 1) 집단에서 있었던 혹은 말해진 내용들은 엄격히 서로 비밀을 지켜줄 것 2) 집단 대화를 할 때 서로 비난하거나 언어적 혹은 신체적 공격행위를 가하지 않을 것 만일 이런 일이 벌어진다면, 집단상..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lyelN/btqIM7vsvnO/MjWy7kGmMiPKIwaaWns650/img.jpg)
6.해석 TAT의 분석과 해석은 어디까지나 수검자에 대한 배경정보와 해석자의 심리학적 소양과 훈련 및 역동심리학에 대한 이해에 달려있으며, TAT를 해석할 때에는 수검자의 성격발달에 작용한 여러 지속적인 요인들과, 현재 수검자가 처해 있는 상황과 관련된 여러 요인들도 동시에 고려해야 한다. 즉, TAT진단이란 근본적으로 개인의 성격에 작용하는 지배적인 요인과, 이러한 요인들이 상호 작용하는 방식을 밝히는 것으로 단순히 명명(labeling)이 아니라는 점을 명심해야 한다. TAT는 이야기를 구성하는 과정에서 수검자 자신의 성격과 문제가 반영되고 이야기에 묘사된 인물, 장면 및 문제는 수검자 자신이 일상생활에서 직면하는 것과 같을 것이라는 가정에 근거를 두고 있다. => 이러한 가정을 근거로 반응을 분석하..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7qZu7/btqID5liAY6/KznOUMZTagE2BjCwbZGYt1/img.jpg)
게슈탈트 집단상담은 정신분석가 프리츠 펄스(Fritz Perls,1893~1970)가 창시한 게슈탈트 이론을 중심으로 퍼얼스의 직제자인 어빙 폴스터(Erving Polster)가 최초로 집단상담을 시작한 이래 꾸준히 개발되어왔고, 효과적인 집단상담의 방법으로 인정을 받고 있다. 게슈탈트 집단상담은 주로 세 가지 전혀 다른 이론적 배경, 즉 정신분석학과 현상학—실존주의 그리고 형태주의(Gestalt) 심리학의 영향을 받아 발전되었다고 한다.(Enrigh, 1970) 1. 주요개념 1) 게슈탈트 (Gestalt) 게슈탈트란 전체(whole), 모양(shape), 형태(form)등의 독일어이다. 이는 완결, 근접성, 유사성의 원리에 입각하여 하나하나 ‘의미있게 조직화된 전체 혹은 형태’를 뜻한다. 다시말해 부..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nYtlh/btqID6xD5PP/2uyWOclXTFIOGtEJD17c1K/img.jpg)
1.개요 TAT(Thematic Apperception Test,주제통각 검사)는 로르샤흐 검사와 함께 전 세계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대표적인 투사검사다.이 검사는 모호한 대상을 지각하는 과정에서 개인 특유의 심리적인 과정이 포함되어 톡특한 해석을 도출하게 된다는 이론적 입장에서 출발하고 있다. TAT는 다양한 대인관계상의 역동적 측면을 파악하는데 보다 유용한 특징을 가지고 있다. TAT에서는 인물들(사람)이 등장하는 모호한 내용의 그림 자극을 제시하고 그에 대한 이야기를 구성해 보도록 하는 방법을 사용한다.이 과정에서 개인의 과거경험,상상,욕구,갈등 등이 투사되면서,성격의 특징적인 면,발달적인 배경,환경과의 상호관계 방식 등에 대한 정보를 제공해 주게 된다. 그림에 대한 연상법은 여러 장면에서 진단적,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