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satir
- 보웬
- 자아존중감
- 구조주의가족치료
- 집단
- 가족상담
- 가족규칙
- 이야기치료
- cbt
- Bowen
- 심리검사
- 미누친
- 가족치료
- mmpi
- 사회학습이론
- 이마고부부치료
- 집단상담
- 경험적가족치료
- imago
- krumboltz
- 자아분화
- 진로이론
- SCT검사
- 크롬볼츠
- 생애역할
- 이마고
- mmpi-2
- 진로발달이론
- 해결중심
- 사티어
- Today
- Total
목록전체 글 (100)
마음반창고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CYIt8/btqKLDmax2E/EYg4f8m8xf1HURIHG5auJk/img.jpg)
6. 다세대 전수과정(multi-generational transmission process) ▶다세대를 통해 가족의 정서과정이 전수되는 것. 미분화된 가족정서가 가족투사와 삼각관계 과정을 거쳐 세대 간에 불안이 전달되고 가족의 증상이 반복되는 과정을 뜻한다. ▶자아분화 수준이 낮은 사람이 자신과 비슷한 분화 수준을 가진 사람과 결혼하면 다음 세대인 자녀에게 그들이 미분화된 특징을 투사하게 되어, 자녀의 자아를 더욱 미분화 상태에 놓이게 된다. 이러한 투사과정이 여러 세대를 걸쳐 계속되면, 3세대 또는 그 이상의 세대에 가서 정신분열증이나 정서적 질환이 발생한다. ▶따라서 정신분열증이나 역기능적 문제는 개인의 질병이 아니라, 가족체계에서 누적된 자아의 미분화, 융합의 결과인 셈이다. ▶부모의 낮은 자기분..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kQFt5/btqKOCNwYCN/efCwUKjpQ87zmvb2ULCZL1/img.jpg)
4. 핵가족 정서체계(nuclear family emotional system) ▶핵가족 내에서 가족이 정서적으로 기능하는 패턴, 가족들이 정서적으로 강한 결속력과 연결 정도를 나타내는 것을 의미 ▶핵가족은 하나의 정서체계로서 미분화된 가족 자아덩어리를 형성한다. 따라서 가족 내에 긴장과 불안이 발생하면 독특한 반응기제를 나타내게 된다. 핵가족 정서체계는 부부의 분화수준과 밀접한 연관이 있다. 분화 수준이 낮은 부부는 감정적으로 융합된 정도가 심하고 문제의 해결을 상대방에게 의존하는 상호의존성이 높다. 부부간에 뜻대로 되지 않는다고 느끼면 실망, 두려움, 분노와 함께 불안이 높아진다. 부부는 이러한 불안을 대처하는 방법으로 서로 싸우거나 거리를 두거나 삼각관계를 형성하는 역기능적 관계유형을 반복하게 된다..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zQLNF/btqKxAqKG3w/1aCQqjKRb57KoJ36DrT1GK/img.jpg)
3. 삼각관계(triangulation) ▶부부(두 사람)의 관계체계에서 발생하는 불안과 긴장을 해소하고 관계의 균형을 유지하기 위한 시도과정에서 스트레스가 발생한다. 삼각관계는 스트레스 해소를 위해 두 사람 간의 상호작용 체계에 다른 가족성원을 끌어들임으로써 불안을 회피하고 갈등을 우회시키는 것, 불안에 대한 역기능적 대처방식 중 하나. ▶가장 불안정한 관계체계로 보았으며 실제로 삼각관계가 불안이나 긴장, 스트레스를 감소시키는 데 일시적인 도움은 줄 수 있지만, 가족의 정서체계를 혼란스럽게 만들어 증상을 더욱 어렵게 악화시키는 것으로 보았다. 그리고 삼각관계 대상인 제3자에게 불안한 감정을 쏟아놓기 때문에 가족의 불안을 제3자에게 전수시켜 버리는 결과를 초래한다. ▶삼각관계는 3인체계의 역동적인 균형을..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WIxpQ/btqKMO1KcKm/KaNi9c6GRUnjhOKnPqa4q0/img.jpg)
I. 주요 개념 1. 자아덩어리(ego mass) ▶한 개인이 가족으로부터 분화되지 않은 자아의 상태. ▶감정에 의해서 발생하는 감정체계, 인간과 동물에게 모두 존재하며 감정적으로 얽혀있거나 매여있는 관계 ▶생존을 위해 만들어 낸 정서적 관계 **감정은 살아있는 생명체를 움직이는 가장 기본적인 힘 2. 자아분화(self-differentiation) ▶정의: -개인이 원가족의 정서적 융합에서 벗어나 자기만의 방식으로 자율적으로 기능하게 되는 과정 -정신내적으로 감정반사적이 되지 않고 사고와 감정을 분리할 수 있는 능력 -주어진 상황에서 개인이 얼마나 목표지향적 활동을 할 수 있는가를 척도로 나타낸 개념, 특히 불안이 유발되는 상황에서 감정반사행동을 하지 않고 지적반응을 할 수 있는 정도 -대인관계적으로는..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dlvr0r/btqKEzZjXad/ZQ6N8DsdZwKmBPiDY9kazk/img.jpg)
" 인간가족은 하나의 정서적 단위이다. 가족의 정서적 장의 실재는 모든 가족 안에서 일어나는 정서적으로 움직이는 관계 과정의 산물이다. " ▶Murray Bowen의 가족체계이론. ▶발달배경: 보웬은 테네시의 농촌에서 결속력이 강한 대가족의 장남으로 태어났다. 의과대학을 졸업하고 인턴을 한 뒤 군복무를 하는 동안 정신병리적 현상을 많이 목격하였다. 그들을 보면서 미리 대처하지 못한 안타까움을 느낀 것을 계기로 정신의학으로 진로를 잡게 되었다. 정신과 의사로서 여러 해 동안 정신분석을 공부하다가 메닝거 클리닉에서 소아 정신분열증 환자의 치료를 위해 환자와 그의 어머니 또는 그의 부모를 1~2개월간 공동으로 생활하게 함으로써 정신분열증 환자가 어머니와 정서적으로 밀착된 특수한 관계(모자공생)를 맺고 있음을 ..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cnOsMW/btqKgGjbjiW/SkXmyc25B85KCVk9M3MA5K/img.jpg)
7. 해결중심 치료의 상담구조 팀 접근을 선호, 팀은 일방경 뒤에서 치료회기에서 나타나는 가족체계의 영향을 탐색하고 가족의 반응을 예측한다. 또한 상담사의 칭찬에 대한 가족의 반응을 주시하고 가족에게 부여된 과제에 어떻게 반응하는지를 예측한다. 상담사는 가족에게 어떤 문제해결의 실마리를 주기 전에 가족이 어떻게 반응하는지를 주시한다. 그러나 우리 사회의 상담 상황에서는 팀이 없는 경우도 많아 1명의 상담사가 상담을 하는 경우가 많다. 이때 상담사는 상담사의 역할뿐 아니라 팀의 역할도 동시에 해야 한다. 회기는 자문 시간을 포함해서 1시간 정도 지속된다. 일반적으로 45분정도 상담을 하고 그 후 상담사는 5~10분을 팀과의 자문 시간으로 사용, 나머지 5~10분동안 상담사는 내담자에게 메시지를 전달한다. ..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GKYe9/btqKhllzwkD/9djlAI7CFxRtRDnbreVYuk/img.jpg)
6. 해결중심으로 이끄는 질문 1) 첫 상담 이전 변화에 대한 질문 ① 치료 이전의 변화를 매우 관심있게 관찰하고, 이것을 근거로 가족의 잠재능력을 발견하며 가족 스스로 인식하기 못한 해결방안을 찾아내는데 이용한다. ② 치료자는 가족 스스로가 심각했던 문제가 어떻게 완화되었는지 파악할 수 있도록 질문하여 의식적, 무의식적으로 그들이 실시한 방법에 관해 인정하고 칭찬한다. ③ 누구의 도움없이 스스로 노력했다는 것과 해결능력을 인정하고 그러한 사실을 강화하고 확대할 수 있도록 격려한다. 상담사가 내담자로 하여금 자신의 문제해결을 주도하도록 도와준다면 그 내담자가 해결해야 할 목적들을 유지하기가 더 쉬워질 것이다. ④ Talmon(1990)은 상담사가 내담자에게 상담 전 변화에 관해 물어볼 때 2/3 정도가 ..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noDbs/btqKfpWihag/nMwuclJ6BYWUj2o89KkLKK/img.jpg)
5. 면접의 기본 방법 및 과정 1) 경청(Listening) 경청이란 상담자가 자기 준거 틀을 내려놓고, 내담자의 이야기를 내담자의 관점에서 주의 깊게 들음으로써 내담자에게 중요한 사람은 누구이며, 원하는 것은 무엇인지를 알아내는 방법이다. 진정한 경청은 첫째, 상담자가 내담자 준거 틀의 중요한 부분에 곧바로 초점을 맞출 수 있다. 둘째, 내담자를 평가하려는 경향을 차단한다. 셋째, 상담자 관점에서 문제를 성급하게 해결하는 것을 막는 데 도움이 된다. 2) 해결중심 질문하기 일반적으로 면담은 상담자가 질문하고, 내담자 대답을 경청하고, 다시 또 다른 질문을 하는 과정이다. “어떤 사람이 질문하는 걸 귀담아들으면 그 사람이 무엇을 믿고 중요하게 여기는지, 성취하려는 것이 무엇인지를 잘 알 수 있다”(W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