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음반창고

Bowen의 다세대 가족치료 : 핵가족 정서체계, 가족투사과정 본문

* 상담이론/- 부부·가족상담

Bowen의 다세대 가족치료 : 핵가족 정서체계, 가족투사과정

남ol 2020. 10. 16. 09:00

4. 핵가족 정서체계(nuclear family emotional system)

핵가족 내에서 가족이 정서적으로 기능하는 패턴, 가족들이 정서적으로 강한 결속력과 연결 정도를 나타내는 것을 의미

핵가족은 하나의 정서체계로서 미분화된 가족 자아덩어리를 형성한다. 따라서 가족 내에 긴장과 불안이 발생하면 독특한 반응기제를 나타내게 된다. 핵가족 정서체계는 부부의 분화수준과 밀접한 연관이 있다. 분화 수준이 낮은 부부는 감정적으로 융합된 정도가 심하고 문제의 해결을 상대방에게 의존하는 상호의존성이 높다. 부부간에 뜻대로 되지 않는다고 느끼면 실망, 두려움, 분노와 함께 불안이 높아진다. 부부는 이러한 불안을 대처하는 방법으로 서로 싸우거나 거리를 두거나 삼각관계를 형성하는 역기능적 관계유형을 반복하게 된다.

불안한 상황에서 부부가 반복하는 감정반사행동은 대체로 네 가지로 나타난다

부부간 드러내어 놓은 다툼

부부간 정서적으로 거리 두기

부부 중에 과다기능하는 사람과 과소기능하는 사람

자녀 중 한 명이나 그 이상의 자녀에게 투사하기

감정반사적 대처행동은 분화의 수준, 원가족과의 정서 단절의 정도, 가족체계의 스트레스 정도에 따라 다르게 나타난다.

부부의 불안은 핵가족 다른 가족 구성원과의 관계에 영향을 끼치고 융합과 단절, 가족투사 등의 과정을 통하여 가족 내에 불안이 전염되고 역기능 증상을 유발시킨다.

가족의 정서적 일체감이 독특한 정서체계를 형성함으로써, 가족구성원 간에 사고와 감정을 공유하다가 이후 서로를 배척하기에 이르는 정서적 관계를 의미. 개인이 자신의 해소되지 못한 불안을 가족에게 투사하며, 특히 미분화된 부부의 경우 사소한 스트레스 상황에도 심한 불안을 느낀다.

부부간에 정서적으로 거리가 먼 경우, 부부 중 한 사람이 신체적 또는 정서적으로 역기능 상태에 있는 경우, 부부갈등이 심각한 경우, 부부간의 문제를 자녀에게 투사하는 경우 그 강도가 강해진다.

 

5. 가족의 투사과정(family projection process)

원가족에서 형성된 자신의 불안한 감정문제를 핵가족 관계에 투사하는 과정

가족 투사정도는 부모의 자아분화수준과 상관관계가 있으며 위기상황에서의 불안감, 결혼과 자녀에 대한 태도, 기대와도 관련이 있다,

미성숙한 부모가 자신의 미분화와 불안을 다루고 부부체계를 안정시키기 위해 무의식적으로 가장 취약한 자녀에게 정서적 에너지를 집중하는 방어기제

부모가 그들의 미성숙함과 분화의 부족을 자녀에게 전하는 삼각관계에서 어느 한 자녀 이상

에게서 장애가 나타나는 과정

자아분화 수준이 낮은 부모는 미분화에서 오는 불안을 삼각관계를 통해 회피하려고 하는데, 공통적 현상은 어머니가 특정 자녀와 공생적 관계를 형성하여 미분화의 산물인 자기문제를 투사시킨다는 점,

부모가 자신의 미분화를 전달함으로써 세대를 걸쳐서 진행되며, 투사대상이 된 자녀는 최소한의 자아분화만을 한 채 부모와 밀착관계를 가지게 된다.

투사는 어느 가정에서나 일어나는 것인데, 분화수준이 낮을수록 그 경향이 심하고 심지어 다음 세대를 희생시키면서 이전 세대의 미분화에서 발생한 불안을 경감시키려 한다.

어머니와 아이의 정서적 분화가 낮을수록, 그 아이의 어머니에 대한 이미지는 그 아이 자신의 정서적 필요와 두려움으로 왜곡된다. 그러므로 이런 식으로 구축된 공생관계는 상호투사작용으로 개념화된다.

아이들이 자신들의 행동에 대한 책임을 받아들이지 않는 것은 부모가 그들 자신들의 행동에 대하여 책임을 받아들이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부모가 자신의 심리적 문제를 자녀에게 전달하는 과정을 뜻한다. 가족투사과정은 세 단계를 통해 일어난다. 예컨대, 부모가 지닌 타인에 대한 과도한 관심과 집착, 타인의 기대에 부응하려는 과도한 부담감, 다른 사람에게 과도한 책임전가, 중요한 타인의 행복에 대한 과도한 책임감 등이 가족 투사과정을 통해서 자녀에게 전달되어 자녀의 심리적 기능을 손상시킬 뿐만 아니라 심리적 장애에 대한 취약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가족 투사과정에서 자란 사람은 결국 대인관계나 사회생활에서 잘 적응하지 못하며 자아분화의 수준도 낮다(Bowen, 1978)

) 부부관계에서 남편에 직장일로 바빠서 아내에게 전혀 관심을 보이지 않을 경우 아내는 더욱 자녀에게 모든 에너지와 애정을 쏟고 삶의 가치를 느끼게 된다. 아내는 자녀에 대한 과잉간섭과 걱정, 기대로 인하여 자녀가 무엇을 해도 만족하지 못하며, 채워지지 않는 자기 기대와 욕구 불만족을 자녀 탓으로 돌린다. 이런 자녀는 심리적인 불안감에 독자적인 자아로 성장하기 어려우며 기능적인 장애가 나타날 수 있다. 아내의 위기 상황이나 불안감에서 시작되었지만 결론적으로 자녀에게 증상을 초래한 것이다. 아내는 이것을 자녀의 문제로 잘못 인식한다.

) 원가족에서 알코올 문제가 있는 아버지와 갈등적이었던 딸이 결혼하여 남편의 가벼운 음주에도 과민반응을 하여 심각한 부부갈등 문제가 일어나는 것

) 맏형에게 특권을 부여한 원가족에서 소외와 박탈감을 느끼면서 컸던 아버지가 자신의 둘째 아들과 자신을 동일시하고 원가족에서 느꼈던 소외와 박탈에 대한 만성불안을 투사하여 많은 특혜를 제공하는 것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