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음반창고

2. 사회인지진로이론(SCCT)_진로모형 본문

* 상담이론/- 진로상담

2. 사회인지진로이론(SCCT)_진로모형

남ol 2022. 12. 12. 09:00

 

4. 사회인지진로이론 모형

1) 흥미발달모형

흥미는 결과기대, 자기효능감과 함께 목표를 예언하고 수행결과로 이어진다.

) 드럼을 잘 칠 수 있다는 자기효능감에 기초하여, 드럼에 대한 흥미가 발달한다.

흥미모형과 관련하여 사회인지진로이론(Lent, Brown, & Hackett, 1994)에서는 다음과 같은 예측을 하고 있다.

가정 1 어느 시기의 개인의 직업적 흥미나 학업적 흥미는 그 시점의 자기효능감과 결과기대를 반영한다.

가정 2 개인의 직업적 흥미는 또한 그 직업과 관련된 능력을 얼마나 가지고 있는가에 영향을 받지만, 이 둘의 관계는 자기효능감에 의해 매개된다.

 

2) 선택모형

개인차(성별, 인종, 장애, 성격)와 주변 환경은 학습경험에 영향을 미치고 학습경험이 자기효능감과 결과 기대에 영향을 미친다.

선택모형과 관련하여 사회인지진로이론(Lent, Brown, & Hackett, 1994)에서는 다음과 같은 예측을 하고 있다.

가정 3 자기효능감은 선택할 목표와 활동에 직접적으로도 영향을 미치고 간접적으로도 영향을 미친다.

가정 4 결과기대는 선택할 목표와 활동에 직접적으로도 영향을 미치고 간접적으로도 영향을 미친다.

가정 5 사람들은 자신에게 가장 흥미로운 영역의 직업이나 학문 영역에 들어가고 싶어 할 것이다.(, 그 영역에서 목표를 선택한다.)

가정 6 사람들은 만약 목표를 정하고, 목표를 명확한 용어로 말하고, 실제 진입할 수 있는 지점에 근접한다면, 자신이 선택한 목표와 일치하는 영역의 직업이나 학문 영역에 들어가려고 시도할 것이다.

가정 7 흥미는 목표를 선택하는 것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통해 진입 행동(활동)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친다.

 

3) 수행모형

개인이 목표를 추구함에 있어 어느 정도 지속할 것인지, 어느 정도 수준을 수행해 낼 것인지를 예측한다. 과거의 수행성취도가 자기효능감과 결과기대에 영향을 주고 최종적으로 수행목표에 영향을 주어 수행수준을 이끈다.

수행모형과 관련하여 사회인지진로이론(Lent, Brown, & Hackett, 1994)에서는 다음과 같은 예측을 하고 있다.

가정 8 자기효능감은 수행목표를 통해 진로와 학업 수행에 직간접적으로 모두 영향을 미친다.

가정 9 능력(또는 적성)은 자기효능감을 통해 진로와 학업 수행에 직간접적으로 모두 영향을 미친다.

 

5. 사회인지이론의 관점에서 진로상담의 세 가지 기본 지침을 제안 BrownLent(1996)

첫째, 내담자가 비현실적이라고 느꼈거나 혹은 부적절한 자기효능감이나 결과에 대한 기대 때문에 배제한 대안들에 대해서 확인하는 것이다.

둘째, 내담자가 가능성 있는 진로를 너무 이르게 제외해 버리게 한 진로장벽에 대해 확인하고 평가하는 것이다.

셋째, 내담자의 잘못된 직업정보와 부적절한 자기효능감을 수정하는 것이다.

 

6. 사회인지진로이론과 진로상담

1) 진로대안 확대 : 자신과 직업에 대한 이해

일반적으로 진로상담이란 진로를 선택하는 것, 진로대안의 수를 줄여 나가는 과정이라고 생각해왔다. SCCT 진로상담은 상담 초기에 진로대안의 수를 확장하려는 경향이 있다. 왜곡된 자기효능감, 결과기대, 목표에 의해 제외시켰던 진로대안들을 다시 고려하고 이와 관련된 자기효능감 등을 바로 잡고자 하기 때문이다.

BrownLent(1996)는 제외된 선택을 확인하는 세 가지 접근을 제안했다.

- 흥미검사 활용 흥미검사의 결과에 초점을 맞추는 것, 높은 점수를 받은 흥미와 낮은 점수를 받은 흥미 모두를 이용한다. 낮은 흥미를 보인 영역을 중심으로 분석할 수 있다.

- 직업가치검사 활용 흥미검사에서 확인된 직업들을 적성검사에서 확인된 직업이나 MIQ와 같은 직업가치검사에서 확인된 직업들과 왜 일치하지 않는지를 분석하는 것

- 카드분류별 활용 상담자는 직업이름이 적혀 있는 카드 한 묶음을 주고, 이것을 세가지로 분류하라고 한다. 선택하고 싶은 직업, 선택하지 않을 직업, 잘 모르는 직업으로 분류한다. 상담자 는 선택하지 않을 직업과 잘 모르는 직업에 우선 초점을 두고, 이들 가운데 만약 그 일을 잘할 수 있는 능력이 있다면 선택할 직업, 성공을 확신할 수 있다면 선택할 직업, 어떤 경우에도 선택하지 않을 직업으로 분류한다. 다음 단계로 내담자가 실제 능력이나 기술에 대해 부족하다면 기술을 더 향상시킬 수 있는 직업이나, 자신의 능력이나 기술이나 잘못된 판단을 가지고 있다 면 효능감을 변화시킬 직업에 초점을 둔다.

 

2) 자기효능감과 강화

가능한 한 진로대안의 고려를 막고 있는 내담자가 가진 잘못된 자기효능감을 스스로 변화시킬 수 있도록 도와야 한다는 것이다.

 

3) 진로장벽 등 맥락요인에 대한 문화적 접근

진로대안을 실행하는 데 있어 장애가 되는 것이 무엇인지 확인할 수 있도록 도와야 한다는 것이다. 일단 진로장벽을 확인하고 나면, 진로장벽에 대한 지각이 얼마나 현실성이 있는지 평가하고, 이러한 장벽을 만나게 될 가능성이 어느 정도인지 평가할 수 있도록 돕는다. 이를 위한 한 가지 전략으로 내담자에게 현재 고려하고 있는 진로 대안에 대한 의사결정 대조표(Janis & Mann, 1977)를 작성할 것을 제안하고 있다.(Brown & Lent, 1996). 먼저 내담자가 지각하 고 있는 진로장벽을 확인하기 위해 선호하는 진로 대안들에 대한 대차대조표를 작성하게 한다. 다음으로 그 내용 중 부정적인 결과 예상 내용에 초점을 두는데, 바로 그 내용 이 내담자가 지각하고 있는 진로장벽의 내용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4) 진로행동

SCCT를 기반한 상담의 궁극적 목적은 진로과업을 수행하고 선택한 직업을 성취하는 것이다.

상담자는 내담자가 직업과 관련한 충분한 정보를 탐색하고 해당 직업에 진입하기 위해 무엇을 해야 하는지를 잘 인식할 수 있도록 도와야 한다. 그 행동을 실천에 옮기도록 조력해야 할 것이다.

*** SCCT는 진로상담에서 주목해야 할 개인변인으로 능력, 가치관, 흥미 뿐 아니라 자기효능감, 결과기대, 목표와 같은 인지적 변인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