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음반창고

이마고 부부치료 : 개론 본문

* 상담이론/- 부부·가족상담

이마고 부부치료 : 개론

남ol 2021. 6. 15. 08:00

이마고 부부치료 (Imago couple therapy)

- 이마고(IMAGO)란 라틴어로 이미지(Image)란 뜻.

- 이마고는 어린 시절에 가장 강력하게 영향을 끼친 사람들(주양육자)의 긍정적 특성과 부정적 특성을 복합적으로 가진 무의식적 내면에 형성된 이미지이다

- 이마고는 어린 시절에 형성되고 우리가 누구에게 끌리느냐에 영향을 준다.

- 이마고 부부관계치료는 부부관계, 더 나아가 가족, 자녀관계, 인간관계의 치료를 위해서 하빌 헨드릭스 박사(Harville Hendrix, Ph.D)헬렌 헌트 박사(Helen L. Hunt, Ph.D) 부부가 1980년대에 개발한 관계치료로서 탁월한 임상효과를 인정받아 전 세계적으로 크게 각광받고 있는 부부관계치료 프로그램이다

# key words: 관계, 분화된 연결, 안전감, 조율, 호기심, 치유와 성장, 전인성 회복

 

이마고 부부치료 이론적 배경

Freud 정신분석, Jung 분석심리학, 대상관계이론, Gestalt, 에릭 번의 교류분석, 인지행동, 체계이론, 대인관계이론, 애착이론, 에릭슨의 심리사회발달이론, 말러, 부버의 나-너의 철학, 사회학습이론, 양자물리학, 서구신화적 전통 등의 영향을 받음

 

이마고 부부치료 모델의 특징

- 부부 각자의 어린 시절의 미해결된 과제를 현재 부부갈등과 힘겨루기의 핵심적인 과제로 간주하고 부부치료에 임상적으로 적용하고 있다. 전인적이고 통합적인 인간관계 치료.

- 배우자의 역할: 서로의 상처치유를 위해 꼭 필요한 협력자, 배우자는 나의 상처치유를 위한 청사진을 가지고 있다. 부부의 역할을 서로의 어린 시절 미해결 과제를 풀기 위한 반드시 있어야만 할 이마고 짝임과 동시에, 서로를 위한 치료사임을 이해한다는 점에서 독특하다. 부부의 치료적 역할의 첫 시도, 관계의 힘을 치료의 원천으로 사용하였다.

- 부부상담사의 역할은 코치와 촉진자. 부부치료의 주체는 상담자가 아닌 부부자신이므로 치료사는 부부가 서로 치료사 역할을 잘 할 수 있도록 촉진해주고, 특히 부부 사이에서 어떠한 삼각관계도 만들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그러므로 부부를 항상 동시에 봐야 한다. 이마고 체어(Imago chair) 사용, 부부는 상담자를 보는 것이 아니라 서로를 마주 본다.

- 관계란 연결이다. 결혼갈등의 무의식적 목표는 연결을 회복하고 유지하는 시도로 해석

- 힘겨루기에서의 갈등 위기(위험+기회)는 치유의 기회

- 상처는 관계에서 발생하는 것이다. 그러나 치유 또한 관계 속에서 일어난다.

- 이마고대화법을 사용하여 부부 사이에 안전감을 제공하고 끊어진 연결감을 회복하게 한다.

- 부부는 동등한, 수평적 관계로서, 서로의 다름을 인정하고, 서로 안전감을 제공한 상태에서, 대화법을 통해서 서로 연결을 회복한다. 서로의 다름이 상호보완적이 되어 관계에서 연결감과 기쁨과 열정을 회복하여 다시 로맨틱한 관계가 된다. 서로는 서로에게 호기심과 관심을 가지고 조율하고 공명한다. 서로의 가슴에 다리가 연결되어 원래의 온전함을 회복한다. 무조건적 수용과 사랑으로 서로의 치유와 성장을 위해 없어서는 안 될 협력자가 되는 것이다.

 

이마고 부부치료의 목표

- 연결감 회복의 촉진, 즉 의식적 결혼관계를 영위하기

- 부부가 배우자에 대한 새로운 이미지를 갖도록 하는 것(배우자를 적이 아닌 동지로 보는 것, 슬프고 상처받은 아이로 보기)

- 공감과 연민은 방어를 부수고 부부간의 연결을 회복하여 관계를 치유한다.

- 부부가 서로의 치유자가 되어 치유와 회복의 여정을 계속하도록 격려하기

 

우주 여정(cosmic journey)

- 우리는 본래 연결되어있는 우주 속에 속해 살고 있는 별개의 개별적인 존재이다. 우리는 모두 연결되어 있는, 상호 영향을 미치는 파동치는 에너지이다.(나비효과)

- 우리가 자연적 상태 또는 파동적 에너지의 고동 안에 있을 때, 우리는 편안하고 즐거운 느낌을 경험한다. 이러한 편안한 즐거움이 우리의 자연적 상태이다.

- 유아 때부터 성인에 이르기까지 우리는 별개의 그러나 연결된충동에 근거한 일련의 반복되는 여행을 한다. 이 여행은 우리가 누구이며, 왜 우리가 그런 식이고, 왜 우리가 궁극적으로 사랑에 빠지는지를 설명해준다.

- 우리가 갈등을 겪을 때, 우리는 두려움과 소외 그리고 연결됨의 인식에 대한 상실을 경험하게 되며 연결되어 있다는 사실을 경험하지 못한다. 그러나 분리는 착각이다.

- 편안한 즐거움을 상실했다고 느낄 때 우리는 그것을 되찾기를 원한다.

- 부부관계는 연결을 회복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진화 여정(evolutionary journey)

- 부부는 갈등상황에서 오래된 뇌를 사용하는 경향이 있다. 그들은 이성적으로 숙고하기 보다는 감정적으로 반응(reactive)한다. 안전한가 위험한가에만 관심

- 이마고 부부대화법은 안전감을 느끼는 가운데 오래된 뇌의 감정적인 반응보다는 새로운 뇌의 이성적/의도적 대화를 하도록 돕는 대화법이다.

- 부부사이에 안전감이 형성되면 자신의 방어를 내려놓고 취약함을 드러낼 수 있다.

- 동일한 발달단계에서 자신처럼 상처를 입은 사람과 결혼한다.

- 그러나 배우자는 정반대되는 성격의 사람으로 에너지 표현방식이 반대인 사람이다.

 

# 작업: 확대자 vs 축소자

나는 확대자인가? 축소자인가?

나는 어느 단계에서 상처를 받았으며, 관계에서 어떤 유형인가?

나의 배우자는 확대자인가 ? 축소자인가?

나의 배우자는 어느 단계에서 상처를 받았으며, 관계에서 어떤 유형인가?

 

심리 여정(psychological journey)

 

사회 여정(social journey)

1) 사회화(socialization): 우리가 누구이고 어떻게 행동해야 하는 지를 말해주는 양육자나 사회로부터 받는 메시지. 사회화 과정에서 우리는 우리의 특정 부분들을 억압하게 되고(잃어버린 기능, Missing self(잃어버린 자아) or lost self) 이것은 배우자와의 관계에서 우리가 피할 수 없는 강력한 그러나 숨은 역할을 한다.

2) 부인된 자아(denied self): 우리가 갖고 있지만, 심지어 가졌는지도 모르는 자아, 갖고 있다고 알고 싶어하지 않는 자아. 다른 사람은 우리가 그것을 가지고 있는 것을 알고 있지만 우리 스스로는 부정한다. 부정적인 특성

3) 소유하지 못한 자아(disowned self): 우리가 타인에게서 부러워하는 긍정적인 특징이지만 자신에게 있는 것은 인정하지 않는 특징. 다른 사람은 우리가 그것을 가지고 있는 것을 알고 있지만 우리 스스로는 부정한다.

4) 숨겨진 자아(hidden self): 우리 자신은 갖고 있다는 것을 알지만 다른 사람들이 알지 못하게 하는 모든 특징들의 복합체. 우리 자신의 존재에서 중요한 부분을 보호하기 위해서 다른 사람의 시선으로부터 그것을 보호한다. 종종 우리는 그것과 관련하여 많은 수치심을 갖고 있다.

5) 표현되어지는 자아(representational self): 사회적으로 표현되어지는 모습

 

# 작업: 잃어버린 자아에 대한 수용

- 생각, 감정, 행동, 감각 중 어린 시절 나에게 허용된 기능과 허용되지 않은 기능은 무엇인가?

- 내가 자라면서 가장 많이 들은 말은?

- 내가 자라면서 듣고 싶었던 말은?

- 나의 부인된 자아는 어떤 것이 있는가?

- 내가 소유하지 못한 나의 긍정적인 자아는 어떤 것이 있는가?

- 나의 숨겨진 자아는 어떤 것이 있는가?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