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Bowen
- 집단상담
- 자아존중감
- 구조주의가족치료
- 보웬
- 해결중심
- 사회학습이론
- 경험적가족치료
- 집단
- 생애역할
- 진로발달이론
- krumboltz
- cbt
- mmpi
- 미누친
- 가족치료
- 이마고
- mmpi-2
- 가족규칙
- 자아분화
- SCT검사
- 크롬볼츠
- 이마고부부치료
- satir
- 이야기치료
- imago
- 가족상담
- 진로이론
- 심리검사
- 사티어
- Today
- Total
마음반창고
경험적 가족치료 : 치료과정 본문
IX. 치료과정
제1단계 정체단계(폐쇄단계) |
고통, 증상 등을 통해 변화의 필요성이 제기되는 단계 |
2단계 외부요인의 도입 |
문제의 탐색 및 긍정적 목적 설정 단계 |
제3단계 혼돈(체계의 개방) |
이전 행동은 맞지 않고 새로운 행동은 개발되지 않은 사이의 혼란 |
제4단계 변형(변화하기) |
긍정적으로 설정된 목적을 행하여 변화하기 시작하는 단계 |
제5단계 통 합 |
변화가 자신과 조화를 이루고 자리를 잡기 시작하면서 새로운 자신의 일부가 됨 |
제6단계 실습(변화실행하기) |
변화를 실습하고 새로운 감각을 느껴본다 |
제7단계 새로운 상태 |
건강, 평등, 조화, 일체감, 균형감을 가지며, 악순환보다 편안함을 느낀다. |
자존감 선언문
나는 나다 (I am me.)
Virginia Satir
나와 똑같은 사람은 이 세상 아무 데도 없다. 나로 인한 모든 것은 나만의 것이다. 왜냐하면 내가 선택하였기 때문에. 나는 나의 모든 것- 몸, 느낌, 입, 목소리-의 주인이다. 나에게 또 다른 사람에게 하는 모든 행동도 나의 것이다. 나는 나의 환상, 꿈, 희망, 두려움을 지니고 있다. 나의 모든 승리, 성공, 실패, 실수까지 모두 나의 것이다. 나는 나의 모든 것의 주인으로 나 자신을 알고 친해질 수 있다. 나 자신을 알 수 있다. 나는 나를 사랑할 수 있고 나의 모든 부분들과 친구가 될 수 있다. 물론 나는 나 자신에 대해 당황해하기도 하고, 모를 때도 있다. 그러나 내가 나를 사랑하고 친하기만 하면 나 자신을 격려할 수 있다. 나에게는 문제에 대한 해답과 나 자신을 더 잘 알 수 있는 희망에 있다. 내가 어떤 순간에 보고, 듣고, 말하고, 행동하고, 생각하고, 느끼는 것은 비록 부분적으로는 잘 안 맞는 것이 있더라도 전부 나의 것이다. 나는 잘 안 맞는 그 부분만 던져버리고 나머지는 지킬 것이다. 그리고 던져버린 것에 대해서는 새로운 것을 만들어 낼 수 있다. 나는 보고, 듣고, 느끼고, 생각하고, 말하고, 할 수 있다. 나는 생존할 수 있는 방법을 가지고 있고, 다른 사람과 가까이 지낼 수 있고, 생산적이 될 수 있다. 나는 내 밖에 있는 것들, 사람들, 세상에 존재하는 질서를 찾을 수 있다. 나는 나 자신의 주인이기 때문에 나는 나를 움직이게 할 수 있다. 나는 나이고, 나는 괜찮다.
|
다섯 가지 자유
Virginia Satir
그래야만 하는 것, 그랬던 것, 앞으로 그렇게 되어질 것 대신에 지금 여기에 있는 그대로 보고 들을 수 있는 자유
느끼고 생각해야만 하는 것 대신에 지금 느끼고 생각하는 그대로를 말할 수 있는 자유
느껴야만 하는 것을 느끼는 대신에 지금 느껴지는 그대로 느낄 수 있는 자유
바라는 것을 얻기 위해서 허락을 받을 때까지 기다리는 대신에 원하는 것을 요구할 수 있는 자유
흔들리는 것을 두려워하여 “안전함”만을 선택하는 대신에 자기를 위해서 모험을 할 수 있는 자유
|
참고문헌
Satir, V. M. Gomori, M., & Gerber, J. (1991). 사티어모델: 가족치료의 지평을 넘어서.
The Satir Model: Family Therapy and Beyond. 한국버지니아사티어연구회 역.
(2004).서울: 김영애가족치료연구소.
Satir, V. M. (1988). 아름다운 가족, The New People Making. 나경범 역. 서울: 창조문화.
Satir, V. M. (1972). Peoplemaking. Palo Alto: Science and Behavior Books
(성민선. 송준 공역) 의사소통의 새로운 기법. 서울: 홍익재.
박경숙 (2009). 어머니의 의사소통을 통해 본 원가족의 가족 규칙과 부부 의사소통에 관한 연구. 전주산업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송성자 (1998). 가족과 가족치료. 서울: 법문사. 328-330
정문자 (2003). 사티어 경험적 가족치료. 서울: 학지사.
'* 상담이론 > - 부부·가족상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야기치료 : 배경-사회구성주의 (1) | 2021.01.03 |
---|---|
사티어 의사소통 유형 검사지 (0) | 2021.01.02 |
경험적 가족치료 : 치료기법 (0) | 2020.12.31 |
경험적 가족치료 : 상담목표, 치료자역할, 치료적 차원 (0) | 2020.12.30 |
경험적 가족치료 : 주요개념 (0) | 2020.12.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