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음반창고

Bowen의 다세대 가족치료 : 발달 배경 본문

* 상담이론/- 부부·가족상담

Bowen의 다세대 가족치료 : 발달 배경

남ol 2020. 10. 13. 10:14

 

 

" 인간가족은 하나의 정서적 단위이다. 가족의 정서적 장의 실재는 모든 가족 안에서 일어나는 정서적으로 움직이는 관계 과정의 산물이다. "

Murray Bowen의 가족체계이론.

발달배경: 보웬은 테네시의 농촌에서 결속력이 강한 대가족의 장남으로 태어났다. 의과대학을 졸업하고 인턴을 한 뒤 군복무를 하는 동안 정신병리적 현상을 많이 목격하였다. 그들을 보면서 미리 대처하지 못한 안타까움을 느낀 것을 계기로 정신의학으로 진로를 잡게 되었다. 정신과 의사로서 여러 해 동안 정신분석을 공부하다가 메닝거 클리닉에서 소아 정신분열증 환자의 치료를 위해 환자와 그의 어머니 또는 그의 부모를 1~2개월간 공동으로 생활하게 함으로써 정신분열증 환자가 어머니와 정서적으로 밀착된 특수한 관계(모자공생)를 맺고 있음을 발견한다. 이러한 발견으로부터 정신장애 환자 가족의 큰 특징이 개인적 자주성의 결여이며 자기분화가 건강한 가족의 중요한 특성임을 깨닫게 되었다. 아울러 모든 가족이 정서적 융합과 분화라는 연속선상의 한 지점에 놓여있다고 확신하게 되었다.

이를 통하여 분화의 개념과 삼각관계의 개념을 정립하게 되었고, 환자들은 엄마 또는 부모와 불안정한 애착관계(모자공생)를 형성한다는 사실을 발견. 모자공생개념을 확대하여 전체가족을 하나의 정서적 유기체로 보아 개인의 문제는 가족의 문제이고, 전체 가족에게 영향을 미친다는 체계론적인 관점으로 이동

보웬은 행동장애를 증가된 불안의 산물로 본다. 고립되고 분화되지 못한 가장 상처받기 쉬운 개인이 증상을 발달시키거나 혹은 갈등의 중심이 되기 쉽다고 봄.

보웬이 본 정서적 질병을 만들어 내는 주요패턴

부모와의 사이에서 미해결된 갈등을 가지고 있는 자아분화수준이 낮은 두 사람이 결혼을 한다.

결혼생활을 통하여 두 사람이 더욱 친밀해질수록 그 갈등은 더 심화된다. 그것은 배우자를 통해서 자신의 완성을 추구하려고 하나 완전해지려고 결혼한 두 사람은 불완전했던 이전보다 더 불완전한 상태가 되기 때문이다.

부부는 정서적으로 결별함으로써, 즉 정서적으로 서로에게 거리를 둠으로서 갈등을 해결하려한다, 흔히 두 사람은 서로 불화를 일으키지 않기로 합의를 하게 되는 경우가 많은데 이렇게 해서 가짜 친밀감을 만들어 내어 친밀한 척하고 지낸다. 이런 결혼생활은 겉으로는 행복해 보이지만 속으로는 갈등과 고통과 외로움이 자리 잡고 있다,

두 사람은 그들 사이에 아이가 있으면 완전해질 것으로 믿기 시작한다. 아이가 태어나게 되면 그 아이를 중심으로 삼각관계(Triangulation)가 만들어진다. 아이는 두 사람 관계의 초점이 된다. 부모가 자녀를 이용하여 자신의 정서적 욕구를 충족시키려고 하거나 아이가 양쪽 부모의 감정을 돌보려고 애를 쓴다. 아이는 이 체계 안에 갇히고 가족을 떠난다는 것이 사실상 불가능하다는 것을 알게 된다. 삼각관계 틀 속에 매여있는 자녀는 부모의 감정투사를 그대로 받을 수 밖에 없는 위치에 있다. 이런 아이는 종종 정서적인 어려움을 갖게 되고 환자로 지명(IP)되어 치료를 받도록 보내진다.

이렇게 지명된 환자 (identified patient)는 사실상 정서적인 문제를 안고 있는 가족의 한 증후에 불과할 뿐이다. 이러한 환자의 정서적 질병은 그가 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가족 전체의 정서적 체계와의 관계 안에만 이해될 수 있다. 가족이 환자이다. 정서적인 것은 온 가족에게 전염된다. IP라는 꼬리표가 붙은 그 사람은 질병을 앓고 있는 가족 전체의 정서적 체계가 가지고 있는 증상을 나타내고 있을 뿐이다. 역기능적 가족은 다른 가족 구성원들과 융합되거나 밀착되어 있고 자아경계가 뚜렷하게 확립되지 않았으며 다양한 방식으로 관계를 맺는 것이 가능하지 않고 경직된 역할을 한다.

, 보웬이 말하는 자아경계선이 상실된 채 미분화된 가족 자아덩어리로서 감정으로 하나가 되어 있는 상태이다. 자아분화수준이 낮은 부모가 미분화에서 오는 불안과 문제를 자녀와의 삼각관계를 통하여 자신의 감정을 자녀에게 투사하면서 회피하려고 한다. 이는 부모의 갈등을 전가하는 것으로 다세대 전이과정을 보여준다.

가족체계이론은 IP의 정서적인 질병을 고립적이거나 개별적인 현상이 아니라 가족 전체를 환자, 그 구성원들을 파악한다. IP는 역기능가족체계의 한 증후이다. 자녀의 문제가 자기 부모의 불안한 결혼생활의 증상을 나타내기도 한다.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