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가족규칙
- 사티어
- 집단
- 집단상담
- 자아존중감
- 이마고부부치료
- 크롬볼츠
- imago
- 심리검사
- 자아분화
- cbt
- SCT검사
- mmpi-2
- 보웬
- krumboltz
- 이야기치료
- 가족상담
- 진로발달이론
- 사회학습이론
- satir
- 미누친
- Bowen
- mmpi
- 생애역할
- 가족치료
- 이마고
- 구조주의가족치료
- 진로이론
- 경험적가족치료
- 해결중심
- Today
- Total
마음반창고
다면적 인성검사 : MMPI-2 상승척도쌍 & 보충척도 본문
MMPI-2
목차 : 1 상승척도 쌍 2 재구성 임상척도 3 성격병리 5 요인척도 4 내용척도 5 보충척도
1. 상승척도 쌍
해석방법 : 상승한 임상척도와 행동특성 간의 관계를 고찰함 . 한 척도만의 단독 상승에 대하여 논의하는 경우도 있으나 , 대개는 상승 척도쌍 , 적어도 65 점 이상 상승하여 가장 높게 올라가는 두 개의 척도를 중심으로 논의됨 . ( 더 높은 척도가 앞에 오도록 표기 , 예 : 7-2 코드 )
주의 : 상승척도 쌍에 포함된 척도 중에서 가장 낮은 점수가 프로파일에서 그 다음으로 놓은 척도 점수보다 적어도 5 점 이상 높은 경우에만 해석할 것을 권장 .
T 점수가 60~70 사이에 있을 경우 극단적 해석을 하지 않도록 유의 .
첫 번째 두 번째 척도가 10 점 이상 차이 난다면 높은 척도 중심으로 해석 .
(1) 1 번 척도
단독상승 :
- 오랫동안 애매한 신체적 증상과 병을 호소 , 신체적 질병이 있는 경우라도 과장된 증상 호소가 있음
- 자신의 증상에 대해서 심리적 원인을 부인 , 억압하고 신체증상에만 집중
- 때때로 타인을 조종하기 위한 목적으로 신체적 호소를 이용하는 경우가 많음
- 치료관계를 위해 증상의 고통에 대한 충분한 공감이 필요
★ 12/21
1) 적응수준 , 증상 | - 신체적 불편감 : 신체증상의 기질적 원인에 대한 아무런 임상적 증거가 없음에도 불구하고 신체적 질병 호소 - 주요호소증상 : 두통 , 소화불량 , 구토 , 복통 , 불면증 , 식욕부진 - 건강과 신체 기능에 집착 , 사소한 신체적 이상에도 지나치게 민감 |
2) 세상에 대한 시선 | - 스트레스나 갈등 상황 시의 신체적 증상이 심리적 문제를 회피하고 타인을 조종하기 위한 수단으로 사용됨 |
3) 자기 개념 | 자신의 능력에 대한 강한 회의 |
4) 정서 조절 | - 예민하며 걱정과 짜증이 많고 신경질적 - 억압 , 부인 , 신체화 |
5) 대인 관계 | - 사회적 상황에서 내향적 , 수줍어하고 위축되어 자신을 잘 드러내지 않는 경향 - 다른 사람들이 자신을 어떻게 생각하는지에 대해서 매우 예민 - 수동 - 의존적 대인관계 |
6) 진단적 인상 | 불안장애 , 우울증 , 신체화 장애 , 정신 생리적 장애 ( 불안 , 우울 , 긴장을 동반하나 실제 임상적 우울증이 동반되는 경우는 드뭄 ) |
7) 치료적 시사점 | - 자신의 문제를 심리적문제로 보지 않기 때문에 심리치료가 어려움 - 심한 불편감을 잘 참아내며 변화하려는 동기를 잘 느끼지 못함 |
★ 13/31
1) 적응수준 , 증상 | - 신체적 불편감 호소 : 두통 , 흉통 , 요통 , 사지 마비 , 경련 등 - 전반적인 기능을 완전히 상실하기 보다는 효율이 저하된 상태에서 기능을 지속적으로 유지하려는 경향 - 신체증상은 스트레스 받을 때 증가 , 증상과 관련된 분명한 이차적 이득이 있는 경우가 많음 ( 척도 3 이 1 보다 높은 경우 ) |
|
2) 세상에 대한 시선 | - 자신이 겪는 곤란을 다른 사람 탓으로 돌림 - 부인 , 투사 , 합리화 방어기제 |
|
3) 자기 개념 | - 심리적으로 정상이고 책임감 있고 결함이 없는 사람이라고 묘사 - 자신이 처한 상황 및 세상사 일반에 있어 긍정적이고 낙관적인 견해 |
|
4) 정서 조절 | - 자신의 부정적인 감정을 지나치게 통제하면서 이를 간접적이고 수동적인 방법으로 표현 - 사회적으로 수용이 될 수 있는 방식으로 행동하는 것이 중요함 |
|
5) 대인 관계 | - 사교적 , 외향적이나 대인관계의 깊이가 부족하고 피상적 - 남들로부터 관심과 애정을 끌고 동정 받으려는 강한욕구 , 그 욕구를 만족시키지 못하면 분노나 적대감 , 수동 공격적 방식으로 표현 - 자신의 욕구를 채우기 위해서 사회적 관계를 이용하려는 경향 |
|
6) 진단적 인상 | - 신체화 장애 , 전환 장애 | |
7) 치료적 시사점 | - 심리적 요인에 대한 통찰 결여 - 자신의 증상이나 문제에 대해서 적절한 수준의 걱정도 하지 않음 - 좌절된 애정 욕구에 대한 이해 , 증상이 아니라 성격적 특성에 초점 |
|
3 번째로 높은 점수에 따른 변화 양상 | 2 | 우울과 비관주의가 두드러짐 |
7 | 불안 , 긴장 , 죄책감이 나타나며 분노표현이나 갈등에 대한 공포가 큼 | |
8 | 어지러움 , 의식 손실 , 이상한 신체적 증상을 호소할 수 있음 | |
9 | 더 감정적이고 , 인정 추구 , 부인 , 폭발적 | |
K 상승한 경우 | - 억제 , 부인 , 사회적 인정의 추구가 더 강함 - 부정적인 감정의 표현이 어려움 |
Conversion V Code ( 고전적인 전환 V 프로파일 ) |
- 1/3 척도가 65 점 이상으로 상승해 있고 , 척도 2 가 1 과 3 보다 8 점 이상 낮을 경우 - 자신의 심리적인 문제를 신체증상으로 전환시킴으로써 문제를 자신이 아닌 외부로 돌리려함 - 심리적 , 대인 관계적 문제를 사회적으로 받아들일 수 있는 방식으로 해석하려는 경향이 강함 - 다양한 신체적 증상을 가지고 있으면서도 신경 쓰지 않거나 오히려 즐겁게 이야기 함 - 척도 9 가 상승된 경우 manic defense ( 조증적 방어 ) 를 사용하고 있는 것은 아닌 지 의심 |
14/41
- 흔하지 않다 . 여성에 비해 남성에게서 더 흔함
- 심한 신체증상 호소 ( 불특정적인 두통 )
- 사회적 규칙에 대해 불만이 많고 권위적 대상에 대해 반항적이지만 직적접으로 표현하지 않음
- 알코올 남용 , 약물 중독 , 실직 , 범법 행위의 과거력이 있을 수 있음
- 삶에 대해 불만족 , 비관적 , 대인관계에서 요구적 성향 , 불평이 잦음
- 건강염려증과 반사회적 성격장애로 진단 될 수 있음
- 치료에 저항적 , 자신의 심리적 문제를 부인하므로 치료가 어려움
15/51
- 흔치 않음 . 나타난다면 남자에게 흔함
- 수동성과 사소한 일에 신경쓰면서 불평이 많은 모습
- 모호한 신체증상 호소
- 스트레스를 받으면 증상이 더욱 심해지지만 이것으로 우울 , 불안해하지는 않음
16/61
- 건강염려증적 태도가 많은 사람으로서 적대심이 많음
- 자신이 적개심이 많은 것을 인정하지 못하고 남 탓을 함으로 대인과계에 갈등이 많음
- 치료에 저항적
- 척도 8 이 조금이라도 상승되어 있다면 망상적 요소를 내포한 편집증적 장애나 정신분열증 감별 필요
17/71
- 만성적으로 지속되어 온 긴장이나 불안감과 관련된 신체적 증상을 보임
- 우울 , 감정억제 , 강박적 사고 , 죄책감 , 열등감 , 자기 주장의 어려움
- 대인관계의 회피 , 치료에 저항적
18/81
- 기태적 성질의 신체증상을 호소하는 경우가 많음 , 때때로 신체적 망상
- 적대감과 공격적인 감정 , 이런 감정을 적응적 방식으로 표현할 능력이 없음
- 사회적 부절절감 . 타인과 친밀한 관계를 맺지 못하고 소외감을 느낌
19/91
- 신체증상과 더불어 높은 활동 수준 또는 불안 상태가 예상되는 사람들
- 극심한 마음의 고통과 동요를 경험 , 매우 불안하고 긴장되어 있으며 안절부절 못함
- 포부 수준은 높으나 확고한 목표가 없고 자신의 무능에 좌절을 느낌
(2) 2 번 척도
단독상승 :
- 우울을 부인하더라도 반응성 우울증을 앓고 있을 가능성이 있음
- 척도 9 가 45 점 이하로 낮다면 만성적 우울의 가능성이 높아짐
- 부절절감 , 자신감 결여 , 자신에 대한 평가절하 , 미래에 대한 비판 및 죄책감
- 자살사고와 자살계획 탐색 필요
- 치료에도 순응적 , 잘 반응하고 예후가 좋은 편
★ 23/32 depression, somatic symptom, 미성숙 , low psychological mindness
1) 적응수준 , 증상 | - 날카로워지고 , 초초 , 긴장 , 걱정되는 느낌 - 만성적 무력감 , 피로감 , 수면곤란 - 만성적인 문제에 익숙 , 비효율적 상태에서 오랫동안 기능을 유지 - 성취에 상당한 관심을 보임 . 경쟁적이고 근면하며 추진력있는 것처럼 보일 수 있지만 경쟁상황에 직접 뛰어들지는 않고 , 책임과 연관된 스트레스나 압력을 두려워함 . |
2) 세상에 대한 시선 | |
3) 자기 개념 | 자기 회의에 사로잡혀 괴로움을 겪음 |
4) 정서 조절 | - 감정을 지나치게 통제하는 경향 - 자주 사용하는 방어기제 : 부인 , 억압 |
5) 대인 관계 | - 수동적이고 고분고분하고 의존적 - 보호본능유발 - 사회적 상황에서 부적절감을 느끼며 사회적 관계를 회피하는 경향 - 성취한 만큼 충분히 인정받지 못한다고 느끼며 사소한 비난에도 쉽게 상처받음 |
6) 진단적 인상 | 우울증 |
7) 치료적 시사점 | - 전통적 심리치료를 통해 호전될 가능성은 낮은 편 - 내면을 살피지 않으며 행동에 대한 통찰 결여 , 심리적 설명 거부 |
★ 24/42
1) 적응수준 , 증상 | - 충동을 즉각적으로 만족시키기를 원하고 이를 지연하지 못함 - 무모한 행동을 한 뒤에 자신의 행동을 매우 후회하며 죄책감을 느끼는 모습 - 내부적원인 ( 만성화된 우울 ): 적개심 , 분노 , 불만족감을 경험하며 적응문제 , 결혼생활의 갈등 , 가정문제 , 환경적 압박이 있는 경우가 많음 - 외부적원인 ( 반응성 우울 ): 환경적 어려움이 사라지면 우울과 고통도 사라짐 - 자살생각 , 자살기도 : 2,4 척도가 모두 높을 경우 |
2) 세상에 대한 시선 | |
3) 자기 개념 | 자신에 대한 부적절감과 불만족감 , 자기연민 |
4) 정서 조절 | 적개심을 수동 공격적으로 표현 |
5) 대인 관계 | - 사교적이고 외향적이고 활력이 넘치는 것처럼 보일 수 있음 - 의존적 , 자기 중심적 , 타인 원망 - 관계에서 타인을 조종하려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장기적인 관계에서는 타인의 분노를 유발 |
6) 진단적 인상 | 우울증 , 반사회성 성격장애 , 알코올 , 약물중독 |
7) 치료적 시사점 | - 치료과정의 압력을 못이겨 탈락 , 치료동기가 낮고 통찰력이 결여되어 있음 - 청소년의 경우 주의집중 문제 , 권위에 대해 분개하며 논쟁적이고 타인과 깊은 관계를 맺는 것을 두려워함 . |
26/62
- 의심 , 불신 , 분노 , 적대감 , 공격성 등을 특징으로 하는 성격적인 문제를 지닌 사람들 .
- 화가 나고 우울한 상태에 있는 사람 , 분노가 타인뿐 아니라 자신에게로도 향해져있음 .
- 타인에게 노골적으로 화를 내고 적대적임 . 대인관계가 원만하지 못하고 가까운 사람들로부터도 소외당함 .
- 잘 고쳐지지 않는 만성적인 적응 양상 .
- 6 번 척도가 매우 높을 경우 편집형 정신병의 가능성 고찰 필요
★ 27/72 우울증의 전형 , 꼼꼼 & 완벽주의 , 비주장적 , 자기 탓
1) 적응수준 , 증상 | - 불안하고 초조하고 긴장된 모습 - 실제 및 가상의 위협에 취약 - 어떤 일이 일어나기도 전에 미리 염려하는 경향 - 사소한 스트레스에도 과도하게 반응하는 편 - 우울증상 : 슬픔 , 체중감소 , 활력감퇴 , 지체된 사고과정 , 자살 사고 - 성취하고 싶은 욕구 및 그런 성취를 통해 인정받고 싶은 강한 욕구 - 문제에 대한 깊은 생각에 빠져 골몰하고 반추 - 꼼꼼하고 완벽주의적인 모습 |
|
2) 세상에 대한 시선 | - 세상에 대해 비관적 , 자신의 문제를 극복할 가능성에 대해 비관적 | |
3) 자기 개념 | - 자기 스스로를 처벌하는 사람 - 부절절감 , 불안정감 , 열등감 |
|
4) 정서 조절 | |
|
5) 대인 관계 | - 관계에서 수동 의존적 - 적절한 정도의 자기 주장을 내세우는 것도 힘들어 함 |
|
6) 진단적 인상 | 불안장애 , 우울증 , 강박장애 , anxious depression | |
7) 치료적 시사점 | - 심한 불편감으로 치료에 대한 동기가 강함 - 자신에 대해 앎에 대한 동기가 강함 |
|
3 번째로 높은 점수에 따른 변화 양상 | 3 | 온순 , 수동 , 의존적임 , 타인의 돌봄과 도움을 이끌어내는 비상한 재주 , 불안증 부류의 신경장애가 많고 기저에 우울증이 잠재하는 경우 많음 |
4 | 만성적이고 뿌리깊은 우울증과 부적절감 및 죄책감을 보임 . 알콜 중독의 문제가 많고 수동 - 공격적인 성격형 , 실패에 대한 지나친 두려움과 열등감 , 매우 의존적이며 미성숙 | |
8 | - 만성적이며 다양한 신경증적 증상 : 우울 , 신경과민 , 강박적사고 , 길게 곱씹는 생각을 반복 , 과도한 의심과 걱정 , 우유부단 , - 주의집중의 어려움과 사고장애의 문제 - 고착된 부정적 자기상 , 자살사고 및 자살사고의 가능성 - 전반적 불행감과 무쾌감증 , 스트레스를 알콜 , 약물로 대체하려는 가능성 - 사회적 기술결여 , 사회적으로 위축 고립 . |
1) 적응수준 , 증상 | - 불안 , 초조 , 긴장 , 안달하는 느낌 - 수면곤란 , 주의집중곤란 , 혼란된 사고 , 잦은 망각 - 자살에 대한 사고 , 구체적인 계획 - 정신분열적인 증상 (8 번 척도가 더 높을 경우 ): 사고장애를 수반한 환청 , 환시 , 망상 , 신체적 망상 |
2) 세상에 대한 시선 | |
3) 자기 개념 | - 무가치감 - 자신의 능력을 비현실적으로 평가 , 자신의 문제를 과소평가 |
4) 정서 조절 | - 쉽게 화를 내고 대부분의 시간동안 분노를 품고 지내며 통제를 상실할까 두려워함 - 부정적인 감정을 표출했던 기간을 기억하지 못하는 해리증상을 보일 수 있음 |
5) 대인 관계 | - 다른 사람들의 반응에 예민 , 타인의 동기를 의심 - 친밀한 대인관계를 회피하며 정서적인 거리감 유지 |
6) 진단적 인상 | 양극성 장애 , 분열정동장애 |
7) 치료적 시사점 | |
★ 28/82 depression, social withdrawal, agitation, difficulty concentration, fear of losing control over one's impulse
29/92
- 우울증과 경조증이라는 반대되는 증상이 동시에 상승하는 것으로 매우 드물게 나타남
- 자기 중심적이고 자기도취적인 경향 , 자신의 잠재적인 부적절감과 무가치감을 부인하려함
- 활동 증가와 피로감이 교차하여 나타나기도 함
- 2 번과 9 번척도가 T 점수 70 이상인 경우 기질적 뇌손상 가능성
- 가장 흔한 진단은 조울증 , 약물치료필요
3) 3 번 척도
단독상승 :
- 타인과의 관계나 조화를 강조 , 낙천적이며 관습적인 특성
- 최악의 상황에서도 ‘ 모든 것이 잘될꺼야 ’ 라는 자세로 어떤 형태의 감정도 표출하지 않음
- 미성숙 , 자기중심적 , 스트레스 상황에서 이득의 성질이 뻔히 보이는 신체적 증상을 나타냄
- 독립적 의사결정의 어려움 , 의존적 , 버림받는 것에 대한 강한 공포
- 장기적 치료관계 형성이 어려움
★ 34/43
1) 적응수준 , 증상 | - 만성적이고 강렬한 분노 , 긴 시간 동안 축적된 분노임 - 적대적이고 공격적인 충동을 품고 있으나 부정적인 감정을 적절한 방식으로 표현하지 못함 - 가족에 대한 깊고 만성적인 적대감 - 폭음이나 폭발적인 행동 후 자살 사고를 품거나 자살시도 할 가능성 |
2) 세상에 대한 시선 | - 행동의 원인과 결과에 대한 통찰이 결여 - 곤란을 겪으면 자신이 아닌 다른 사람들을 과도하게 비난하고 책망하는 경향 |
3) 자기 개념 | |
4) 정서 조절 | 3<4 전반적으로 감정을 과잉통제하다가 주기적으로 분노과 적개심을 폭발적으로 드러냄 , 평소에는 말이 없고 비사교적인 편 . 4<3 분노를 수동적이고 간접적인 방식으로 표현 , 반항적 , 공격적인 사람들과 어울려 다니며 분노심을 대리 표출함 , |
5) 대인 관계 | - 타인으로부터 관심과 인정받기를 간절히 원하면서도 남들에게 냉소적이고 남들을 의심하는 편 - 거절당하는 것에 예민 , 비난을 받으면 적대적 , 부부갈등이 높은 편 |
6) 진단적 인상 | 성격장애 , 물질 남용 / 의존 |
7) 치료적 시사점 | 외양으로는 순응하는 것처럼 보이나 내면적으로는 매우 반항적 태도 |
36/63 self-control, avoidance of criticism, seeking of approval
1) 적응수준 , 증상 | - criticism 에 극도로 민감 - 자신의 사회적 역할에 극도로 신경을 씀 - 만성적인 분노와 적개심을 부인 , 합리화 - 가족에 대한 오래된 분노 , 자신의 분노를 타인의 행동 때문인 것으로 합리화 |
2) 세상에 대한 시선 | |
3) 자기 개념 | - 자기 중심적 , 자아도취적 |
4) 정서 조절 | - 부정적인 감정을 직접적으로 표현하지 못하며 자신의 적대적인 감정을 인식하지 못하는 경우도 많음 - 자신이 분노하고 있다는 것을 인식하게 되면 타인의 행동을 탓하는 방법으로 자신의 분노를 정당화 |
5) 대인 관계 | - 타인에 대한 기대가 크고 타인을 도덕적으로 판단하려고 함 - 자기 중심적 , 반항적 , 비협조적인 태도로 인해 어울리기 힘든 사람이라고 묘사 |
6) 진단적 인상 | 척도 6 이 척도 3 보다 T 점수 5 점 이상 높다면 편집증이나 정신증적 상태고려 |
7) 치료적 시사점 | - 자신의 심리적 요인이 자신의 대인관계를 어렵게 만들고 있다는 생각을 꿈에도 못함 |
37/73
- 긴장되고 불안한 감정 , 불안장애
- 스트레스와 갈등으로 인한 만성적인 신체증상
- 타인을 탓하고 합리화하는 경향
- 심리적 문제 부인 , 충족되지 않은 의존욕구가 있으나 부인 , 이로 인해 치료가 어려움
38/83
- 상당한 심리적 동요 , 심한 혼란감
- 불안 , 초조 , 긴장 , 두려움 , 걱정 , 공포
- 우울과 무망감 , 사소한 문제라도 결정하는 것을 어려워 함
- 미성숙 , 의존적 , 관심과 애정욕구가 강함 , 자기중심적 , 적개심
- 두 척도 모두 상승했을 때 망상이나 기괴한 연상을 보이는 사고 장애의 가능성 , 주위집중의 어려움 , 기억력 장애 , 기이한 생각이나 관습에서 일탈된 생각을 표현 , 연상의 과정이 다소 이완되어 있음
- 약물치료필요
39/93
- 신체적 증상을 급성으로 호소
- 성격적으로 사교적이고 극적으로 외향적인 사람들
- 증상은 쉽게 호전되나 재발의 가능성
- 적대적 , 화를 잘냄 , 정서적으로 불안정 , 심리적 요인을 인정하지 않음
(4) 4 번 척도
단독상승 :
- 충동적인 행동 , 권위적 대상과의 갈등
- 자기 중심적 , 통찰 결여 , 욕구 과정에 대한 인내성이 낮고 , 분노 감정 억제력이 취약 , 자제력 부족 , 신체적인 공격행위를 유발시키는 경우가 잦음
- 피상적인 관계는 빨리 형성하지만 감정이 얕으므로 피상적인 관계만 가능
- 자의에 의해 치료 장면에 오진 않고 대개 타인에 의해서 끌려오는 경우가 많음
- 반사회적 성격적 특성을 가지고 있어 심리치료가 어려움 , 자신을 남들보다 낫다고 생각하며 자신의 문제에 대한 책임을 남에게 전가하고 통찰력이 없음 .
45/54
- 한국에서는 매우 드뭄
- 남자들에게서 더 많음 , 사회적 가치에 순응하지 않고 공격적
- 우울 , 불안과 같은 정서적 문제는 없으나 자기 중심적이며 미성숙하고 성적 정체감의 문제
- 남성 비순응적 모습 , 교육수준이 높을 경우 주류문화에 대한 분노 , 수동 공격적 대처양식
- 여성의 경우 전통적 여성상에 반발 , 자기 주장적 , 전문적 역할을 지닌 직업을 가지며 상위문화에 속하려고 함 , 일중심적
46/64
- 화를 잘 내고 원망하며 말다툼을 잘하는 사람들
- 미성숙 , 자아도취 , 방종한 모습
- 다른 사람들에게 관심과 동정을 지나치게 요구하면서도 남들이 자신에게 사소한 것이라도 요구할 때는 싫어함
- 타인의 동기를 의심하고 자신이 상당히 힘들게 살고 있다고 느끼며 깊은 정서적 관계를 맺으려 하지 않음
- 비아냥거리고 쉽게 화를 내고 심기가 불편하고 논쟁적이며 미움을 받는 사람으로 보일 수 있음
- 본인을 합리화하고 다른 사람들에게 책임을 전가 , 자신의 행동에 책임을 지지 않으려함
- 억압된 분노 , 권위를 손상하려 함
47/74
- 척도 4 와 척도 7 의 극단을 순회하는 주기적 행동의 반복 ( 자신의 행동이 초래할 결과에 무관심하고 신경을 쓰지 않는 기간과 그 행동이 남들에게 미칠 영향을 지나치게 걱정하는 기간을 번갈아 보임 ), 일시적으로 사회적 관습을 무시하고 충동적으로 행동하다가 다음에는 자신이 저지른 행동에 대해서 후회하고 죄책감을 느끼며 자기비하에 빠짐
- 자신의 가치를 거의 항상 다른 사람을 통해 확인하려는 다소 의존적이고 불안정한 사람들
- 자신의 가치에 확신을 갖게 해주는 것이 필요함 , 장기간의 치료적 관계가 필요한 사람들
★ 48/84 아웃사이더 , 남성강간범 Distrust, alienation and disconnection from others
1) 적응수준 , 증상 | - 외모나 행동에서 기이하고 특이하고 괴상한 사람으로 보임 - 주어진 환경에 잘 적응하지 못하는 것처럼 보임 - 충동통제에 심각한 문제 - 무분별하고 계획성 없는 범죄를 엉성하게 범하는 경향 - 판단력 부족이나 논리및 사고의 결함 때문에 사회적 , 법률적 문제를 일으킴 |
2) 세상에 대한 시선 | 세상을 위험한 곳으로 봄 , 현실회피 , 화를 내며 공격하는 방식으로 반응 |
3) 자기 개념 | - 깊은 불안정감 , 관심과 애정을 받으려는 욕구가 상당히 큼 - 부정적이고 취약한 자기개념 , 거절과 실패를 자초하는 것처럼 보임 |
4) 정서 조절 | - 쉽게 화를 내고 분노를 표현하며 비사회적 혹은 반사회적 방식으로 행동 - 자신의 행동에 대한 책임을 지려고 하지 않으며 자기 합리화를 너무 많이 하고 자신이 겪은 고통을 다른 사람의 탓으로 돌림 |
5) 대인 관계 | - 기본적인 사회적 기술이 결여되어 있으며 사회적으로 위축되고 고립되는 편 - 공감능력 손상 , 자기 합리화를 위해 타인을 탓하고 조종하려고 함 |
6) 진단적 인상 | - 정신분열증 , 반사회성 / 분열성 / 편집성 성격장애 |
7) 치료적 시사점 | - 신뢰에 대한 문제가 있기 때문에 점진적 진행이 필요 |
★ 49/94 대책 없는 스타일
1) 적응수준 , 증상 | - 사회적 기준이나 가치를 매우 심하게 무시 - 도덕성이 낮고 제멋대로인 윤리관 , 비행 범죄행동 - 권위적인 인물과 마찰 - 방종한 행동 , 욕구 좌절에 대한 인내력이 약함 , 공격적 , 충동적 행동 - 판단력 낮음 , 자신의 행동이 초래할 결과를 고려하지 않은 채 행동해 버리며 경험을 통해 배우지 못함 |
2) 세상에 대한 시선 | |
3) 자기 개념 | - 외견상으로는 자신감과 안정감이 있어 보이지만 , 그 이면에는 자신의 미성숙하고 불안정하고 의존적인 측면을 부인하려고 애쓰는 모습이 숨겨져 있음 |
4) 정서 조절 | - 좌절감을 견디지 못하고 변덕스럽고 화를 잘냄 , 강한 분노와 적대감을 품고 있고 정서적으로 폭발할 수 있음 . 행동화 합리화의 방어기제를 씀 |
5) 대인 관계 | - 사회적 장면에서는 부드럽고 말을 잘하며 불안이나 걱정 , 죄의식을 보이지 않으므로 일시적으로 남에게 좋은 인상을 줌 - 책임감 없고 자신의 단점이나 실패를 합리화하고 타인의 탓으로 돌리며 비난 - 타인에 대한 불신으로 피상적인 인간관계 , 깊은 정서적 관계가 어려움 |
6) 진단적 인상 | - 알코올 문제 , 강간 , 아내구타 , 아동학대 , 부부문제 등 다양한 일탈행동 등의 문제에 연루 - 양극성 장애 , 반사회성 성격장애 |
7) 치료적 시사점 | |
(5) 5 번 척도
5 번 척도는 병리적 특성을 재는 척도가 아님 , 다른 척도들을 해석한 후 척도 5 의 특성과 통합시키는 것이 바람직 .
단독상승 :
- 여성이 높은 경우는 흔치않고 남성이 높은 경우도 정신병리를 가지고 있다기 보다는 정상적인 경우가 많음 .
- 남성이 높을 경우 의존적 , 비주장적 , 유약 , 성정체감의 갈등
- 여성이 높을 경우 전통적 여성적 역할에 대해 비순응적 , 자유분방한 태도 , 공격적 , 경쟁심이 강하며 지배적인 성격
-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5 번 척도가 상승하는 경향
57/75
- 우울한 사람들
- 대인관계 , 이성과의 관계 호소
- 학습곤란 , 걱정이 많음 , 우유부단
58/85
- 아동기부터 시작된 정신과적 문제를 가지고 있는 경우가 많음
- 알콜 남용 , 신체학대 , 정신 질환 등의 가족력
- 친밀한 대인관계 회피
(6) 6 번 척도
단독상승 :
- 6 번 척도는 문항이 명백함으로 단독 상승하는 경우는 드뭄
- 단독상승일 경우 대개 편집증적 증상 , 의심이 많고 불신감 , 자신의 문제를 타인에게 전가하는 투사기제
- 융통성 부족 , 다른 사람의 비판에 민감 , 자신의 정당성이나 도덕성 강조
- 6 번 척도가 T 점수 64 점 이상 상승하였거나 단독 상승하였을 경우 정신증의 여부를 확인할 필요
67/76
- 불안하고 걱정이 많으며 의심이 많은 사람들
- 완고하고 고집불통이며 적대감을 간접적으로 표현
- 겉으로는 편집증적 증상을 잘 보이지 않음
★ 68/86 Psychotic 우원 / 탈원 나타남 , 현실검증력 손상
1) 적응수준 , 증상 | - 불안 , 우울 , 위축 , 정서적 무감동 , 무망감 , 비관주의 , 자살 사고 - 사고과정에 있어서 문제 , 현실 검증력 손상이 의심됨 , 이상하거나 기괴한 사고내용을 보일 수 있음 - 분명한 정신병적 행동 , 기태적 사고 , 판단력손상 , 피해망상 , 과대망상 , 환각 , 비현실감 보고할 수 있음 - 현실과 공상을 구분하지 못함 |
2) 세상에 대한 시선 | 스트레스 상황에서 효과적으로 방어하지 못하고 현실도피 |
3) 자기 개념 | - 강한 열등감과 불안정감 - 자존감 , 자신감 부족 |
4) 정서 조절 | 둔마된 정서 |
5) 대인 관계 | - 타인에 대한 불신 , 사회적 기술에 심각한 결함 , 타인과의 정서적 관계회피 . 친구가 매우 적거나 없음 - 사회적 기술에 심각한 결함 |
6) 진단적 인상 | 편집형 정신분열증 , 사고이탈 , 우원 |
★ 678 정신증적 V
- 편집형 정신분열증과 연관
- 심각한 정신병리
- 환각 , 망상 , 극도의 의심성 , 정서 둔마
- 내향적인 성향으로 수줍음이 많음 , 사회적으로 위축됨
- 극심한 정서적 동요를 경험하지는 않지만 기능적 손상이 있을 수 있으며 입원치료가 필요할 수 있음
69/96 paranoid grandiosity
1) 적응수준 , 증상 | - 조증의 경우 의외로 6 번 상승이 많음 , 정신과적 진단 필요 - 실제 혹은 가상의 위협에 취약하며 대부분의 시간동안 불안하고 긴장 - 눈물을 자주 흘림 - 사소한 스트레스에 과도한 반응 - 기분이 팽창되어 있고 말이 많음 , 공격적 , 적개심 - 두 척도가 모두 상승했을 때는 사고 장애 의심 : 사고 또는 집중 어려움 , 사고의 흐름 지체 , 반추적 , 강박적 , 망각과 환각 |
2) 세상에 대한 시선 | - 스트레스를 받으면 공상으로 도피 |
3) 자기 개념 | - 자신의 일에는 뭐든지 도덕적 정담함 주장 , 고집을 부리고 비판을 받아들일 줄 모르며 투사를 너무 자주 사용 |
4) 정서 조절 | - 감정을 적절히 조절하지 못하고 과잉통제와 폭발을 번갈아서 나타냄 |
5) 대인 관계 | - 의존적이며 사랑받으려는 욕구가 강함 |
6) 진단적 인상 | 편집형 정신분열증 , 양극성 장애 |
7) 치료적 시사점 | |
(7) 7 번 척도
단독상승 :
- 2 와 8 사이에 광범위한 문항이 중복되기 때문에 7 번만 단독상승은 드뭄
- 긴장 , 불안 , 경직된 사람들
- 1 차 진단 불안장애 고려 , 점수가 상승할수록 공황장애나 공포증 , 불안을 수반한 우울장애
점수가 비교적 덜 높을 경우 강박장애 가능성
- 의심이 많고 순응성이 높음 , 상대에 대한 신뢰가 피상적 , 완벽성의 추구경향
★ 78/87 심리적 도움을 구하는 급성 심리적 동요
1) 적응수준 , 증상 | - 상당히 혼란스러운 정서적 동요상태 , 마음이 편치 못하고 복잡함 - 문제가 있는 걸 알면서도 해결책을 찾지 못함 - 비생산적인 반추가 많음 - 8>7( 척도 8 이 높을수록 ) 정신병적 장애 진단 가능성이 높아짐 - 판단력 손상 , 경험으로부터 배우지 못함 |
2) 세상에 대한 시선 | 적절한 방어를 구사하지 못하는 것처럼 보임 |
3) 자기 개념 | 자신감 없고 위축되고 고립 |
4) 정서 조절 | 걱정이 많고 예민하고 안절부절 못함 |
5) 대인 관계 | - 대인관계에서 민감함 - 우유부단 , 사회적 경험 적음 , 사회적 관계에서 위축되고 고립 |
6) 진단적 인상 | 분열성 성격장애 , 정신분열증 , 우울증 , 강박장애 등 |
7) 치료적 시사점 | 분노와 자존감의 문제를 다뤄주어야 함 |
79/97
- 만성적으로 불안하고 걱정이 많으며 긴장되어 있음
- 높은 에너지 수준이 강박적 사고를 더욱 악화시키는 경향
- 관계없는 말을 쉴 새 없이 해대며 무엇을 말하려하는 지 이해할 수 없음
- 충동적 과격행동이나 과대 망상적 생각을 하는 시기와 죄책감과 자기 비난에 빠지는 시기가 번갈아 나타나는 경우가 있음
(8) 8 번 척도
단독상승 :
- 대인 관계에 서툼
- 수용할 수 없는 충동과 관련된 욕구 만족 공상을 즐김 , 사고가 독특하고 비범하며 괴팍
- 지능이 높은 경우 추상적 이론이나 철학적 흥미를 나타내는 정도 , 비순응적 경향
- 성에 대한 집착 , 성적 혼동 , 성과 관련된 기태적인 공상 , 대체로 정신적으로 혼란
- 반드시 정신분열증적인 사고장애의 가능성을 확인해야 함
★ 89/98
- 자기중심적이고 유아적
- 관심을 요구하고 좌절하게 되면 화를 내고 적대적으로 대함
- 성취욕구가 강하고 성취에 대한 압박감을 느끼지만 실제 수행은 좋지 못함
- 과잉 활동적이고 정서적으로 불안정 , 흥분된 상태
- 정서적인 관계를 두려워하며 회피하여 사회적으로 위축되거나 고립
- 지남력 상실 , 비현실감 , 혼란감 , 사고와 주의집중 곤란
- 진단 : 정신분열증 , 사고장애
(9) 9 번 척도
단독상승 :
- 충동적이고 과격행동 , 적개심이 많고 대인관계의 곤란 경험
- 외향적 , 사교적 , 적극적임 , 대인관계의 친밀감과 깊이는 결여
- 말이 많고 과잉 활동적 , 과대 망상적 사고 , 정서적 불안정 , 직업적 적응곤란
- 급성적인 경조증적 시기에는 사고과정은 기태적 양상을 나타내며 과대 망상적 계획을 방해하면 극단적이고 호전적으로 변하기도 함
(10) 0 번 척도
단독상승 :
- 대인관계에서 불편감이 큼
- 대인관계의 불편감이 분열성 성격이나 신경증 , 혹은 단순 생활형에 관한 선호에 기인한 것인가 하는 점은 환자의 과거력과 MMPI 검사이유 등을 고려하여 판단하여야 함 .
(11) 기타 참고 자료
★ 123/213/231
- 진단 : 신체형장애 , 불안장애 , 우울장애
- 증상 : 수면곤란 , 당혹감 , 낙심 , 무망감 , 비관주의
- 삶은 긴장의 연속 , 낮은 활력 , 쉽게 피로감 느낌 , 낮은 성적 욕구
- 사회적 상황에서 상대적으로 잘 적응하는 것처럼 보이지만 정서적으로 거리를 둠
- 스트레스에 신체증상을 보임
- 전환 V: 스트레스에 신체증상 , 부인과 억압의 방어기제 , 통찰결여
138
- 망상 수준에 이르는 기태적인 신체증상
- 명백한 사고장애 양상
- 우울 삽화 / 자살사고 / 심리적 동요
- 안절부절 못하고 지겨워함
★ 247
anxious, guilty, acting-out individual. 부모에 대한 화를 자기 장난감을 부수는 것으로 표현하는 아이
1) 적응수준 , 증상 | - 안전에 대한 작은 위협에도 과도하게 반응하며 걱정하고 불안해한다 . - 강박사고와 행동이 흔하다 - 미성숙함 - 우울 / 불안 , 가족문제 / 충동조절 - 우울 , 비관적 기분 , 자살사고 , 강박사고 , 강박 행동 경험 가능성 - 성취욕구가 있지만 실패에 대한 두려움으로 겁을 낸다 |
2) 세상에 대한 시선 | |
3) 자기 개념 | 일이 조금만 잘못되면 극도로 자기 자신을 비난하는 경향이 있다 . |
4) 정서 조절 | - 분노에 대한 죄책감으로 화를 표현하기 어려움 - 수동 - 공격적인 성향으로 나타남 |
5) 대인 관계 | - 매달리고 의존적이지만 , 정서적으로 거리를 둔다 . - 타인의 관심과 지지에 대한 욕구가 있고 의존성과 성에 대한 갈등이 있다 - 부당한 대접을 받고 있다고 느낌 |
6) 진단적 인상 | 알코올 또는 약물 남용환자에게서 흔하게 관찰 |
2. 재구성 임상 척도
(1) 개발 배경
임상척도를 제작할 때 경험적인 방식으로 문항을 구성했기 때문에 , 같은 임상 척도에 포함된 문항들의 내용이 상당히 이질적이며 상관이 높고 서로 독립적이지 않다는 문제가 발생 되었다 . 중복 채점 되는 문항들을 제거하더라도 몇몇 임상 척도들 사이에는 여전히 높은 상관이 존재 한다는 것이다 . MMPI-2 임상 척도를 제작 할 때 경험 적인 방식을 적용 했다는 것은 , 각각의 정신과 입원 환자 집단 ( 예 : 우울증 환자 집단 , 정신 분열증 환자 집단 ) 과 비임상 집단의 반응을 대조하는 방식으로 문항을 선정했다는 의미이다 . 그러므로 각각 임상척도에 포함된 문항들의 중의 일부는 그 환자들이 공통적으로 치료 받고 싶어하는 정서적 고통 및 불행감과 관련이 있을 것이다 . 모든 임상 척도에 수검자의 정서적 고통이 반영 되었다면 명료하게 해석이 어려워진다 . 그래서 임상가들은 임상 척도의 상승이 의미하는 바를 명확히 알기 위해 상승척도 쌍 , 소척도 , 내용 척도 등을 활용해 왔다 . 이러한 제한 점을 극복하고 정제된 해석을 하기 위해 Tellgen 은 (2003) 재구성 임상척도 (RC) 를 개발 하였다 . 재구성 임상척도 (RC) 의 개발한 목적은 MMPI-2 임상 척도의 중요한 기술적 특성을 그대로 유지하면서도 변별력을 증가시키는 것이라고 설명한다 .
(2) 개발 과정
1) 의기소침 척도라고 명명된 일반 척도를 개발하였다 .
2) 임상 척도들에 반영된 일반적인 의기소침 요인을 제거하는 방법으로 기존 임상척도들의 각각 핵심적 구성 요소를 확인하였다 . 그 임상 척도에 포함된 문항들과 잠정적 의기소침 척도에 포함한 문항들을 모두 합친 후에 요인 분석을 하였다 . 의기소침 (RCd) 요인이 제거 된 후에 얻어진 두번째 요인은 그 임상 척도의 본질적이고 핵심적인 특성을 반영 하는 것으로 간주되었다 .
3) 각각의 재구성 임상척도 (RC) 의 토대가 될 각각의 씨앗 척도를 제작하였다 .
- 씨앗척도는 그 척도가 임상척도의 핵심 특성을 반영하는 요인과의 요인 부하가 높은 문항들로 구성 되었다 .
- 이 단계의 목적은 최종적으로 개발 될 재구성 임상척도의 변별 타당도를 높이기 위해 씨앗 척도의 차별성을 극대화 한 것이다 .
4) 네 개의 임상 표본을 활용하여 12 개의 씨앗척도와 MMPI-2 의 모든 문항 간의 상관을 구하였다 .
(3) 해석 (65 점 상승을 기준으로 함 )
1) 임상 척도와 재구성 임상척도 모두 상승하지 않는 경우 : 어떤 해석도 실시하지 않는다 .
2) 임상척도 상승 , 재구성 임상 척도는 상승하지 않음 : 그 임상 척도의 핵심적 구성 개념과 부합하는 특성을 지니고 있다고 추론 할 때 매우 조심스러워야 한다 . 전반적인 의기소침으로 인한 상승 일 수 있다 .
3) 임상척도는 상승하지 않고 재구성 임상 척도만 상승 : 핵심적 구성 개념과 연관된 특성에 대한 추론을 하는 것이 적절하다 .
4) 모두 상승한 경우 : 임상 척도의 핵심적 구성 개념에 대한 추론을 확실하게 할 수 있다 .
(4) 재구성 임상 척도
의기 소침 RCd |
- 구성 : 전반적인 불행감과 삶에 대한 불만족감을 평가 하는 문항 - 슬프고 불행하다고 보고 , 현재의 삶에 불만족 - 현재 문제 상황에 압도 되는 느낌 , 자신이 무기력하고 비효율적이라 느낌 - 회의적이고 비관적인 태도 |
신체 증상호소 RC1 |
- 구성 : 다양한 신체 증상 호소를 반영 - 상대적으로 많은 수의 신체적 호소를 보고 - 과도하게 신체 기능에 집착 - 피로 , 허약함 , 만성적인 통증 호소 |
낮은 긍정 정서 RC2 |
- 구성 : 긍정적 정서 경험의 결여를 평가하기 위한 문항 - 무력감 , 절망감에 사로잡힘 - 비관적 , 사회적 상황에 철수 , 위축된 모습 - 우울증을 경험할 위험성이 높음 , 드물게 불안 증세도 있음 |
냉소적 태도 RC3 |
- 구성 : 인간 본성에 대한 매우 부정적 견해를 반영하는 문항 - 타인의 동기에 대한 다양한 냉소적 신념보고 - 타인을 신뢰하지 못하고 사람들이 자기의 이득만을 생각한다고 보고 |
반사회적 행동 RC4 |
- 구성 다양한 반사회적 행동과 그와 관련된 가족 갈등을 묘사하는 22 문항 - 현재나 과거의 반사회적 행동 , 가족 갈등 |
피해 의식 RC6 |
- 구성 : 수검자의 피해 의식 정도를 평가하기 위한 17 문항 - 다른 사람들이 자신에게 해를 가한다는 믿음과 같은 심각한 피해의식 |
역기능적 부정적 정서 RC7 |
- 구성 : 수검자의 부정적 정서 경험의 정도를 평가하기 한 24 문항 - 쉽게 불안을 경험하고 불안장애로 발전될 위험이 높음 - 걱정이 많고 , 비판에 민감 , 깊이 근심 , 실수나 실패에 집착 - 지나친 반추 , 침투적 사고 |
기태적 경험 RC8 |
- 구성 : 사고장애에서 특징적으로 나타나는 다양한 특이사고 및 지각 경험을 평가하기 위한 18 문항으로 구성 - 사고 장애 증상들과 관련 - 현실 검증력의 손상 , 다양한 특이사고 및 지각 과정 보고 |
경조증적 상태 RC9 |
- 구성 : 경조증적 다양한 정서 , 인지태도 , 행동 특성을 묘사하는 28 문항 - 평균 이상의 활동성 , 지나치게 빠른 사고 , 높은 에너지 수준 , 고양된 기분 , 과장된 자기상 , 흥분 추구 , 공격성 |
3. 성격 병리 5 요인 척도 (PSY-5)
(1) 개발 배경
Wiggins(1997) 를 비롯한 일부는 정신 장애를 범주적으로 분류하는 체계에 문제가 있음을 지적하였다 . 그들은 성격 장애를 정상적인 성격 기능의 연장선상에서 개념화할 필요가 있다고 보았고 차원적으로 접근 할 것을 제안 하였다 . 성격병리요인척도 (PSY-5) 는 정상적인 기능 및 임상적인 문제 모두와 관련되는 성격 특질들을 평가하기 위해 제작된 척도이다 .
(2) 해석
- 일반적으로 PSY-5 에 포함된 각 척도는 모두 높은 점수에 대한 해석
- 통제 결여 (DISC) 척도와 내향성 / 낮은 긍정적 정서성 (INTR) 척도는 낮은 점수도 해석
- RCd 가 상승할 경우 병리적 특성으로 해석
- RCd 가 낮을 경우 성격적 특성으로 해석
(3) 성격병리 5 요인 (PSY-5) 종류
공격성 AGGR Aggressiveness |
- 언어적으로든 신체적으로든 공격적임 - 다른 사람을 지배하거나 통제하기 위해 폭력을 사용 할 수 있음 - 학교에서 행동문제를 보였거나 체포된 적이 있는 경우가 많음 |
정신증 PSYC Psychoticism |
- 현실과 단절된 느낌 - 다른 사람에게는 없는 신념 혹은 이상한 감각 혹은 지각적 경험을 함 - 관계망상 - 친구가 극소수이거나 전혀 없으며 소외감을 느낌 |
통제 결여 DISC Disconstraint |
- 동적이고 자기 통제 결여 - 신체적으로 위험 추구적인 행동 - 일상생활을 쉽게 지루해 하며 흥분되는 경험을 찾아다님 - 전통적인 도덕적 제약에 덜 얽매이는 경향 - 낮은 점수 (40 점 이하 ): 자제력이 있고 충동적이지 않음 , 지루함을 잘 견딤 |
부정적 정서증 / 신경증 , NEGE Nsgative Emotionality /Neuroticism |
- 부정적인 정동을 경험하는 성향 - 문제가 될 만한 부정적 정보에 초점을 맞춤 - 친구가 극소수이거나 혹은 전혀 없음 - 자기 비판적 , 죄책감을 느끼기 쉬움 |
내향성 / 낮은 긍정적정서 INTR Intromersion / Low Positive Emotionality |
- 기쁨이나 즐거움을 경험 할 수 있는 능력이 거의 없음 - 사회적 내향적 - 성취에 대한 욕구가 낮음 - 낮은 점수 (39 점 이하 ): 기쁨과 즐거움을 느낄 수 있는 능력 있음 사교적 에너지 있음 |
4. 내용척도
(1) 개발 배경
Harris 와 Lingoes 가 개별 임상 척도 안에서 내용소척도를 구성했던 반면 Wiggins(1996) 는 전체 MMPI 문항 군집을 사용하여 내용 척도를 구성 하였다 . Wiggins 는 자신의 척도를 개발하기 위해 논리적이고 통계적인 접근 방식을 조합하여 사용하였다 .
- Wiggins(1966) 는 피검자의 자기 - 제시를 검토하는 방법으로 원판 MMPI 의 13 개 내용 척도를 개발
- Butcher 등 (1990) 은 MMPI-2 15 개 내용 척도 개발
- MMPI -2 내용 척도의 해석은 척도의 문항 내용과 경험적 상관물의 두 가지 기초 자료에 기반
이런 여러 절차를 거쳐 내적 일관성이 높고 상대적으로 , 중복 문항 최소화로 독립적인 MMPI -2 문항 군집 내용을 임상적으로 잘 반영 하는 것으로 15 개 척도를 얻었다 .
(2) 해석
- 내용 척도의 T>65 일때만 적용
- 내용 소척도는 모척도 점수가 60 점 이상이면서 내용 소척도 점수가 65 점 이상 일 경우에만 해석
- 해석 시 , 수검 태도를 고려해야 한다 . 명백한 문항들을 주로 포함하고 있어 척도 점수는 수검 태도와 관련하여 쉽게 왜곡 될 가능성 있다 .
- 높은 점수 (65 점이상 ) 는 수검자가 검사자에게 알리고 싶어 하는 내용을 반영 , 즉 내담자가 주관적으로 호소하고 싶은 내용으로 볼 수 있다 .
(3) MMPI 내용 척도
1) 내적인 징후 행동들
불안 ANX Anxiety |
- 불안하고 걱정과 근심이 많으며 신경이 예민함 - 주의집중과 수면장애 - 의사결정에 불편감 , 강박 증상 , 신체적 증상 - 우울한 기분 , 안정감과 자신감 부족 , 불안장애 |
공포 FRS Fears |
- 공포감과 불편감 - 다양한 공포증을 보고 , 소심한 경항과 자신감 부족 - FRS 1: 전반적으로 겁이 많고 소심 - FRS 2 : 동물 , 높은 곳 , 빛과 같은 여러 구체적인 자극에 대한 두려움 |
강박성 OBS obsessiveness |
- 의사결정을 내리는데 심한 어려움 , 경직 되어 있고 변화를 싫어함 - 사소한 것에 초조해하고 걱정한 후 반추함 - 우울하고 슬프고 의기소침함 - 자신감 결여 , 수면장애 , 강박 증상 보임 |
우울 DEP Depression |
- 주요 우울장애 증상 - DEP 1 동기 결여 : 일에 대한 흥미결여 - DEP 2 기분 부전 : 우울하고 슬프고 침울한 기분 - DEP 3 자기 비하 : 부정적인 자기개념 , 무력감 , 죄책감 , 무가치함 - DEP 4 자살 사고 : 현재 혹은 최근 자살 보고 |
건강염려 HEA Health Concerns |
- 건강 염려 , 건강 부인 , 신체 기능 몰두 - 스트레스 반응에 신체화 증상을 보임 - HEA1 : 소화기 증상 - HEA2 : 신경학적 증상 - HEA3 : 일반적인 건강 염려 |
기태적 정신상태 BIZ Bizarre Mentation |
- 망상과 환각을 포함한 정신병적 증상 - 비 현실감 , 지남력 상실 , 편집성 사고 , 감정둔화 , 물질 남용의 과거력 , - BIZ 1 : 여러 명백한 정신병적 증상보고 , 환각과 망상의 경험 보고 - BIZ 2 : 이상하고 기이한 경험 관계 사고 |
2) 외적인 공격적인 경향
분노 ANG Anger |
- 분노와 적대감 , 욕하거나 폭력적 - 성마르고 잘 토라지고 , 공격적이고 비판적이며 논쟁적 - ANG1 폭발적인 행동 : 무엇인가 치고 부수는 폭발행동 , 발끈하는 성질 - ANG2 성마름 : 성마르고 토라지고 불평이 많고 짜증스러움 |
냉소적 척도 CYN Cynicism |
- 타인들을 부정직하고 냉정하다고 평가 - 타인의 동기의심 , 대인관계를 경계하고 믿지 않음 - CYN1 염세적 신념 : 타인이 이기적이라 믿지 않고 돕거나 의지하지 않음 - CYN2 대인 의심 : 다른 사람을 신뢰 할 수 없다고 믿음 |
반사회적 특성 ASP Antisocial Practices |
- 반사회적 행동에 관여 되어 있고 , 법적인 문제 일으킨 과거력 - 타인에게 냉소적 , 권위에 분개 , 어려움을 타인의 탓으로 돌림 - ASP1 반사회적 태도 : 반사회적 신념이나 태도 , 법과 권위를 무시 - ASP2 반사회적 행동 : 반사회적 행동과 관여 , 법적 문제 , 학교와 관련된 문제 |
A 유형행동 TPA Type A |
- 지나치게 열심이고 행동이 빠르며 업무 중심적 - 적대적이고 쉽게 짜증내고 , 대인관계 거만 , 비판 - 기다리거나 방해 받는 것을 싫어함 - Type A1 조급함 : 다른 사람들에게 , 특히 일과 관련하여 참을성이 없음 - Type A2 경쟁욕구 : 매우 경쟁적임 |
3) 부정적인 자기
낮은 자존감 LSE Low self- Esteem |
- 부정적인 자기개념 , 부적절감 실패를 예상하고 쉽게 포기 - 다른 사람과 부정적으로 비교 , 비판과 거절에 민감 - 칭찬 불편해 함 , 수동적이고 의사결정 어려움 - LSE1 자기회의 : 부정적 자기 개념 , 타인이 자신을 좋아하지 않을거란 믿음 - LSE2 순종성 : 다른 사람의 의견을 따름 , 논쟁 시 자신의 의견을 쉽게 포기 |
4) 일반적인 문제 영역 군집
사회적 불편감 SOD Social Discomfort |
- 수줍고 사회적 내향적임 , 사회 생활이 서투름 , 대인 관계에 민감함 - 흥미 제한 , 정서적 철수 , 수면 문제 - SOD1 내향성 : 다른 사람과 함께 있는 것을 싫어함 , 거리 둠 - SOD2 수줍음 : 대인관계 상황에 불편함을 느낌 , 상호작용에서의 어려움 |
가정문제 FAM Family Problems |
- 현재 가족과 상당히 불화가 있었다고 기술 , 자신의 가족에는 사랑이 결여 - 가족들에게 분노나 적개심 , 부부 관계에 부정적 견해 , 우울한 기분 - FAM1 가정 불화 : 상당한 가족 갈등과 불화를 경험 , 가족들과 자주 논쟁 - FAM2 가족 내 소외 : 가족에게 소외 , 가족들과 정서적 강한 유대감 없음 |
직업적 곤란 WRK Work Interference |
- 업무 수행을 방해 할 수 있는 태도와 행동보고 , 직업선택에 회의감 - 야망이 없고 에너지가 부족 , 동료들에게 부정적인 태도 - 불안정감 , 집중 어려움 , 부정적 자기 개념 , 의사결정에 어려움 |
부정적 치료 지표 TRT Negative Treatment lndicators |
- 정신 건강 치료나 전문가에 대한 부정적인 태도 - 아무도 자신을 이해 할 수 없다고 느낌 - 다른 누구와 공유 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고 느낌 , 극심한 정서적 고통 - 문제에 직면 하면 쉽게 포기 , 문제 해결 못함 , 낮은 판단력 - TRT 1 낮은 동기 : 변화에 대한 동기가 없거나 변화 할 수 없다는 느낌 - TRT 2 낮은 자기 개방 : 다른 사람에게 마음을 열어 보일 수 없다는 느낌 |
5. 보충척도
(1) 개발 배경
- 타당도 척도와 임상척도의 해석을 보충하기 위해 개발된 척도이다 .
- Original MMPI 에 대해 450 여개 이상의 보충척도가 개발 되었으나 , 이중 신뢰도와 타당도가 확보된 척도들만 MMPI-2 에서 유지 되었으며 , MMPI-2 출간 이후 물질 남용 및 부부 문제를 측정하기 위해 몇몇 부가적인 척도들이 새롭게 개발 되었다 .
-MMPI-2 : 15 개 보충척도
-MMPI-A : 청소년용 6 개 보충척도
(2) 해석
-T 값이 65 점 이상일 때 높은 점수로 해석
(3) 보충척도
불안 A Anxiety |
- 불안하고 마음이 편지 않음 - 전반적으로 심리적 적응이 좋지 않음 - 우울 , 불행 , 비관적 |
억압 R Repression |
- 내재화 경향 - 관습적이고 조심스러움 - 개인적인 처리 속도가 느림 |
자아강도 Es Ego Strength |
- 전반적으로 심리적 적응 상태가 양호 - 치료의 예후가 좋음 - 심각한 증상의 수나 정도가 덜함 - 자신감 있고 다른 사람들과 잘 지냄 - 낮은 점수 (40 미만 ): 전반적으로 심리적 적응 상태가 좋지 않음 문제를 다루기 위한 심리적 자원 부족 |
지배성 Do Dominace |
- 면대면 상호 관계에 강함 - 침착하고 자신감 있음 - 성취 지향적 , 사회적 상황에서 편안해 함 |
사회적 책임감 Re Social Responsibility |
- 윤리적이고 도덕적인 문제에 대해서 관심이 많음 - 정의감 강함 - 특권이나 편애를 거부함 |
대학 생활 부적응 Mt, College Maladjustment |
- 전반적인 심리적 상태가 좋지 않음 - 비능률적 , 비관적 - 할 일을 미루고 꾸물거림 |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 PK Post-Traumatic Stress Distress |
- 극심한 정서적 고통 경험 - 불안과 수면 곤란 호소 - 원하지 않는 혼란스러운 사고를 경험 |
결혼 생활 부적응 MDS Marital Distress |
- 부부관계나 다른 가까운 관계에서 불만족을 느낌 - 임상 장면에서 다양한 증상을 보고 할 수 있음 |
적대감 Ho, Hostility |
- 냉소적이고 의심이 많고 잘 믿지 못함 - 화를 잘 내고 적대적임 - 전반적인 심리적 적응 상태가 좋지 않음 |
적대감 과잉통제 O-H Overcontrolled- Hostility |
- 화날 만한 상황에서 적절하게 반응하지 못하지만 이따금 지나치게 공격적인 반응을 보일 수 있음 |
MacAndrew 의 알코올중독 개정판 (MAC-R) |
- 물질 남용 문제를 보일 가능성 있음 - 위험 추구 행동 |
중독 인정 AAS Addiction Admission |
- 물질 남용 문제 - 행동화 했던 과거력 |
중독 가능성 , APS Addiction Admission |
- 물질 남용 문제를 가질 가능성이 있음 - 반사회적 행동을 할 수 있음 |
남성적 성 역할 , GM , Masculine Gender Role | - 전형적인 남성적 흥미와 활동을 선호 - 두려움 , 불안 , 신체적 증상 부인 |
여성적 성 역할 ,GF / Feminine Gender Role |
- 전형적 여성적 흥미와 활동 선호 - 반사회적 행동 부인 |
* 참고문헌
김동민 외 , 심리검사와 상담 , 학지사 , 2013
John R. Graham 저 , 이훈진 외 옮김 , MMPI-2 성격 및 정신병리 평가 , 제 4 판 , 시그마프레스 , 2007
Richard W. Levak 외 . 문경주 외 옮김 . MMPI-2 해석상담 , 어떻게 할 것인가 : 긍정심리학적 접근 , 마음사랑 , 2015
[ 부록 ] MMPI-2 임상척도
1 번 Hs 건강염려증 (Hypochondriasis) / 긍정척도 : 신중성
-> 신체적 관심 과다 , 자기중심적 , 수동 공격적 성향
정서경험 및 표현을 억제하고 대신 갈등을 몸으로 전위해서 표현하는 신체화 기제
2 번 D 우울증 (Depression) / 평가 , 성찰 , 사색
-> 주관적 우울증 , 정신운동지체 , 신체기능저하 , 비관 , 염세적 ,
무력감 등 다양한 증상 표출 . 70 이상 시 자살가능성
3 번 Hy 히스테리 (Hysteria) / 표현성
-> 전환 장애 가능성 ↑ , 신체적 징후 수단으로 갈등 위기 모면 경향 ,
친한 척 , 사교적인 척 하려는 경향 , 애정결핍 근거한 사회적 관심 추구
점수 ↑ : 스트레스 처리에 있어 부정과 억압 같은 신경증적 방어기제
점수 ↓ : 정서적 둔하고 냉정
4 번 Pd 반사회성 (Psychopathic Deviate) / 주장성
-> 사회적 규범 무시 , 가정 불화 ↑ , 정서적 박탈감 존재 , 충동성 ↑
범죄행위가능성 , 권위 인물에 반항 경향 ,
2-4 비행 행동 경향 ↓
화 , 분노 통제 어려움 .
5 번 Mf 남성성 여성성 (Masculinity-Feminty)
-> 우리 안의 이성 척도를 나타냄 , 전통적 성역할지표로 사용
남자가 높으면 여성적 취향이 높고 여자가 높으면 경쟁적 , 활동적 성향 나타냄
6 번 Pa 편집증 (Paranoia) / 호기심
-> 집착 , 의심 , 망상
대인관계 지나친 예민성 , 주 방어기제는 투사 , 자기정당성 , 통찰의 부족
7 번 Pt 강박증 (Psychathenia) / 조직화
-> 만성적 불안 , 정신쇠약증 ( 초조 , 긴장 ), 완벽주의경향 , 강박적 행동 , 병적 공포 수반 ,
2 번 우울증 척도와 상관관계 ↑
8 번 Sc 조현병 (Schzophrenia) / 상상력 , 창조력
-> 망상 , 환각 , 사고와 행동의 모순 , 현실의 냉담 , 사회 정서적 소외 ,
자아통합결여 , 비논리적 , 백일몽
9 번 Ma 경조증 (Hypomania) / 열의
-> 사고와 행동의 과잉 , 관념의 비약 , 열광적 과도한 낙천주의 ,
거대자기 , 자기중심성 , 흥분 , 과잉활동성
0 번 Si 사회적 내향성 (Social Introversion)
-> 대인관계회피 , 비사회성 , 융통성 ↓
'* 상담이론 > - 심리검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다면적 인성검사 : MMPI-2 사례 (0) | 2020.09.06 |
---|---|
다면적 인성검사 : MMPI-2 해석전략 (2) | 2020.09.04 |
다면적 인성검사 : MMPI-2 개별척도 해석 (1) | 2020.08.31 |
다면적 인성검사 : MMPI-2 개요 (0) | 2020.08.31 |
MBTI 상담적 활용 : 부모-자녀상담 (0) | 2020.08.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