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krumboltz
- 생애역할
- 구조주의가족치료
- satir
- 이야기치료
- mmpi-2
- mmpi
- 집단상담
- 사회학습이론
- 가족치료
- imago
- 미누친
- 진로발달이론
- 심리검사
- 가족규칙
- 이마고
- 집단
- 진로이론
- 가족상담
- 자아분화
- cbt
- 사티어
- Bowen
- 경험적가족치료
- 보웬
- SCT검사
- 자아존중감
- 이마고부부치료
- 크롬볼츠
- 해결중심
- Today
- Total
목록자기효능감 (2)
마음반창고

4. 사회인지진로이론 모형 1) 흥미발달모형 흥미는 결과기대, 자기효능감과 함께 목표를 예언하고 수행결과로 이어진다. 예) 드럼을 잘 칠 수 있다는 자기효능감에 기초하여, 드럼에 대한 흥미가 발달한다. 흥미모형과 관련하여 사회인지진로이론(Lent, Brown, & Hackett, 1994)에서는 다음과 같은 예측을 하고 있다. 가정 1 어느 시기의 개인의 직업적 흥미나 학업적 흥미는 그 시점의 자기효능감과 결과기대를 반영한다. 가정 2 개인의 직업적 흥미는 또한 그 직업과 관련된 능력을 얼마나 가지고 있는가에 영향을 받지만, 이 둘의 관계는 자기효능감에 의해 매개된다. 2) 선택모형 개인차(성별, 인종, 장애, 성격)와 주변 환경은 학습경험에 영향을 미치고 학습경험이 자기효능감과 결과 기대에 영향을 미친..

Social Cognitive Career Theory 1. 사회인지진로이론(SCCT)의 개관 1981년 : Hackett와 Betz 여성의 진로발달 및 선택을 설명하려는 시도에서 태동 1994년 : Lent, Brown, & Hackett 남성과 여성 모두를 대상으로 개인 특성과 환경변인 등을 아우르며 개인의 흥미, 선택, 실행 등(Bandura 1986의 사회인지이론에 기초) 진로발달과 선택의 과정을 설명하는 것으로 확장. 체계적인 모습을 나타냄. 1996년 : 진로상담 진로결정자기효능감 Bandaura의 자기효능감(self-efficacy)에서부터 시작되었다. 자기효능감은 목표한 과업을 완성하기 위해 필요한 행동을 계획하고 수행할 수 있는 자신의 능력에 대한 신념을 말한다. 진로효능감(caree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