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250x250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Tags
- imago
- mmpi
- cbt
- 경험적가족치료
- 자아존중감
- Bowen
- 집단상담
- 가족상담
- 미누친
- 이마고
- 가족치료
- 사티어
- 생애역할
- 보웬
- 집단
- 구조주의가족치료
- satir
- 심리검사
- 사회학습이론
- 이마고부부치료
- mmpi-2
- 해결중심
- 자아분화
- krumboltz
- 진로이론
- 이야기치료
- 크롬볼츠
- SCT검사
- 가족규칙
- 진로발달이론
Archives
- Today
- Total
목록개별척도 (1)
마음반창고

5. 개별척도 해석 1) 타당도 척도 자기보고식 검사가 효과적이기 위해서는 수검자가 최대한 자신의 상태를 솔직하게 반응해야 한다는 전제가 필요하다 . 그러나 때로는 수검자들이 왜곡해서 문항에 반응하거나 솔직하게 반응하지 않는 경우가 있다 . 때에 따라 , 좋고 나쁨을 더 과장해서 표현하기 때문이다 . MMPI 검사의 강점은 이러한 특성들을 타당도 척도로 구분해 낼 수 있다는 것이다 . 타당도 척도는 수검자가 일관성 있게 문항에 반응했는지를 파악하기 위해 다양한 문항들을 사용하고 있다 . 예를 들어 , 동일한 질문을 반복해서 묻는다거나 , 서로 상반되는 문항 쌍을 만들어서 반응의 일관성을 측정한다 . (1) ? 척도 ( 무응답 척도 : can not say) 무응답 척도는 응답을 하지 않거나 양족 ( 그렇..
* 상담이론/- 심리검사
2020. 8. 31. 11: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