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가족치료
- 사티어
- imago
- 이마고부부치료
- 자아존중감
- cbt
- 가족규칙
- 해결중심
- 크롬볼츠
- 집단상담
- 집단
- 구조주의가족치료
- 이야기치료
- 경험적가족치료
- 이마고
- 자아분화
- 진로이론
- 사회학습이론
- SCT검사
- 진로발달이론
- 보웬
- mmpi-2
- 생애역할
- 가족상담
- krumboltz
- mmpi
- Bowen
- 미누친
- satir
- 심리검사
- Today
- Total
목록가계도 (2)
마음반창고

IV. 치료기법 1. 과정질문(process question) ▶내담자의 감정을 가라앉히고 정서적 반응에 의해 나타난 불안을 낮추며 사고(이성)를 촉진하는 질문기법으로써, 다양한 과정을 질문하여 내담자가 인식하지 못한 측면을 생각하게 하는 기법 ▶이 질문은 환자의 감정이나 정서보다는 인지에 초점을 두며, 환자가 어떤 방식으로 관계 유형에 관여되어 있는지를 묻는다. 상담사는 내담자가 말하는 사건의 내용에 초점을 두는 것이 아니라 사건을 둘러싼 가족의 순환적 관계과정에 초점을 맞춘다 ▶과정질문의 기능 ① 잠재적인 정서과정을 치료자와 내담자 모두에게 분명하게 드러낸다. ② 질문들은 행동, 특히 증상적인 행동들을 대인관계 맥락에서 이해하게 한다 ③ 치료자가 내담자와 삼각관계에서 벗어나도록 하는 중요한 방법이다 ..

II. 가족 사정(family assessment)/가족 평가 1. 가족평가의 정의 ① 가족을 사정하고 진단하며 측정하는 일련의 행위: 가족을 하나의 ‘단위’로 보고 가족 내부 및 외부체계, 그리고 이들 간 상호작용을 파악하기 위해 자료를 수집, 분석, 종합하여 가족에 대한 개입을 계획하는 일련의 과정 ② 가족치료의 전 과정을 통해 이루어지는 작업, 각 단계에서 치료목표에 맞추어서 평가가 이루어진다. ③ 가족문제, 가족구조와 관계유형, 가족체계와 외부체계의 상호작용, 문제해결을 위한 가족원의 자원, 문제해결에 대한 가족의 동기 등을 평가 2. 가족평가의 목적 ① 가족문제의 특성을 명료화 ② 가족원들이 그들 문제를 어떻게 지각하는지 이해 ③ 가족역동의 구조, 기능성, 영향을 정확히 파악 3. 가족평가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