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250x250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Tags
- 진로이론
- 집단
- 해결중심
- 이야기치료
- 보웬
- 사티어
- satir
- 크롬볼츠
- SCT검사
- imago
- 구조주의가족치료
- 가족치료
- krumboltz
- 가족상담
- 이마고
- 이마고부부치료
- 집단상담
- 심리검사
- 진로발달이론
- 사회학습이론
- 가족규칙
- Bowen
- cbt
- 미누친
- 자아분화
- 경험적가족치료
- mmpi-2
- 생애역할
- mmpi
- 자아존중감
Archives
- Today
- Total
목록상담사윤리 (1)
마음반창고

I. 집단상담 전문가 윤리 규준의 필요성 전문직은 전문적 지식과 기술, 면허 및 자격기준, 사회봉사, 독점권, 전문직 단체, 자율성, 윤리규준과 자기 규율 등의 특성을 가진다(명대정, 2002). 이 중에서 윤리규준과 자기 규율이 전문가들에게 필요한데 그 이유는 다음과 같다. 서비스 수혜자의 보호 -잠재적 유해요소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객관적인 지침 필요 일반 수혜자들은 대체로 자신의 삶에서 중요한 결정을 내려야 할 때 전문가의 서비스를 필요로 한다. 특히 상담전문가는 부부 및 가족관계를 포함한 인간관계를 객관적으로 돌아보고 그에 관해 중대한 결정을 돕는 경우가 많다. 그런데 집단상담 전문가가 성격이나 타당성이 불분명한 방법을 사용하거나 자신의 개인적 욕구를 만족시키기 위해 수혜자를 이용하는 것은 잠재적 ..
* 상담이론/- 집단상담
2020. 8. 30. 10:00